논문 상세보기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농도가 덴파레(Dendrobium phalaenopsis)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Cultural System and Sonic Strengt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Dendrobium (Dendrobium phalaenopsis ) Seedl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0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실험은 덴파레를 공시재료로 양액재배 기법을 이용하여 유묘생장을 촉진함으로써 재배기간의 단축 및 양질의 덴파레 생산을 위한 재배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온실재배현장에 system생산이 가능토록 최적 재배 system 및 양액제어방법을 구명하여 난재배농가에 새로운 재배기법으로 제공코자 그 기초 및 실용가능성 타진을 목적으로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의 농도에 따른 덴파레 유묘생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계재배시 초장의 경우 담액수경의 1/4농도가 31.7cm로 가장 높았으며 분무경의 1/2농도가 21.6cm로 가장 낮아 최고/최저가 약l0cm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담액수경의 경우에는 고농도인 1/2농도와 1/4농도가 초장이 높았으며 분무경에서는 비교적 낮은 1/6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조적인 반응을 보였다. 근수에 있어서는 분무경의 1/4농도가 30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담액수경의 1/6농도가 26개 정도였다. 최대 근장에 있어서는 근수가 가장 적었던 분무경의 1/2농도가 23.9cm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생체중의 경우 담액 수경의 1/4농도와 1/2농도가 총 생체중이 가장 높아 주당 40g이상의 생체중을 나타냈다. 엽의 경우 담액수경의 1/4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줄기는 담액수경의 1/2농도가 22.1g으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춘계재배에서는 담액수경과 분무경은 정식이후 PH가 상승하여 7.5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EC는 각 시스템과 농도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초장의 경우 시스템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담배액식이 약간 크게 나타났다. 경경과 초장은 담배액식>담배액식>분무경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엽장과 엽폭도 담배액식의 고농도(1/2, 1/4)처리구에서 더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ptimum hydroponic system and nutrient solution for shortening the early growth period and quality improvement of dendrobium ( Dendrobium Phalaenopsis) seedlings. Dendrobium seedlings with 3 to 4 leaves were transplanted in the deep flow technique(DFT) system, aeroponic system, and ebb and flow syste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balanced nutrient solutions recommended by the Japanes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hoot and root were recorded and evaulated among treatments. For autumn cultivation, plant height was the longest at the DFT system with quarter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where aeroponic system with half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Aeroponic system stimulated the root growth but fresh weight was observed in the plots of DFT system. For spring cultivation, pH values increased up 7.5 at the DFT and aeroponic system, where EC values did not fluctuate regardless of cultural system. Ebb and flow system showed the best result in the growth of plant followed by BFT system and aeroponic system. Higher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within this range of treatment was recommended for the growth promotion of leaf length and width in DFT system. In conclusion, growth responses differed depending on the cultural system, concentrations of nutrient solutions and duration of cltivation.

저자
  • 정순주
  • 이범선
  • 안규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