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이 관비재배용 개발 배양액의 적정성 검증 KCI 등재

Suitability Verification of Developed Nutrient Solution for Fertigation Culture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4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오이 관비재배용으로 개발된 배양액의 적합성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관행 시비, 개발 관비용 배양액 및 Yamasaki 오이 배양액에 따른 토성의 화학성 변화, 생육 특성 및 과실 수량을 조사하였다. 잎의 광합성 및 증산율은 정식 48일째에는 개발 배양액 중 3/2배액과 Yamasaki오이 배양액 중 1/2 배액에서 높았으나 관행시비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생육 후기에는 광합성은 개발 및 Yamasaki 오이 배양액 모두 3/2배액에서 높았고 관행시비와 큰 차이를 나타냈으나, 증산율은 개발 배양액의 3/2배액과 Yamasaki오이 배양액의 1/2과 1배액에서 높았고 관행시비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오이 생장량과 과실수량은 관행시비보다 개발 배양액과 Yamasaki 오이 배양액에서 좋았고 두 배양액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잎의 무기성분도 Ca를 제외하고 유사한 경향이었다. 처리 전 토양과 비교하여 pH는 모든 배양액에서 낮아지고, EC는 다소 상승하는 경향이었고, P K, Ca 및 Mg의 축적 정도는 고농도로 급액할수록 큰 경향이었다. 따라서 개발된 배양액은 오이 관비재배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To verify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nutrient solution for fertigation culture of cucumber, chemical changes of soil,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cucumber as affected by conventional fertigation method (Control), the developed nutrient solution for fertigation culture (DNF) and Yamasaki cucumber recipe (YCR) were investigated. At 48 days after transplant, photosynthetic and transpiration rate of cucumber leaves were the highest in 3/2 strength of DNF and 1/2 strength of YCR, but not different with the Control, in the later growing period photosynthetic rate was the highest in 3/2 strength of DNF and YCR and was clearly different with the Control, transpir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3/2 strength of DNF and 1/2, 1 strengths of YCR. The growth and yield of cucumber, nutrient elements of cucumber leaves except for calcium were more in DNF and YCR than in the Control. Compared with pre-treated loam soil, pH of the soil was low and electric conductivity was high in all treatments, amounts of accumulated phosphorus,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were much in the higher concentrations per the kinds of nutrient solution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sidered that the developed nutrient solution has suitability as nutrient solution for fertigation culture of cucumber.

저자
  • 한석교 | Han, Suk-Kyo
  • 은종선 | Eun, Jong-Seon
  • 김호철 | Kim, Ho-Cheol
  • 이용범 | Lee, Yong-Beom
  • 배종향 | Bae, Jong-Hy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