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황의 액체배양에서 식물생장조정제와 치상 조직이 직접 체세포배 형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and Explants on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in Liquid Culture of Rehmannia glutinos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5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지황 (Rehmannia glutinosa) 에서 종근 저장시 나타나는 병원균의 오염율을 없애면서 종묘를 대량 증식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조직을 액체 배양하여 직접 체세포배를 형성하고자 할 때 효과적인 생장조절제의 종류와 농도 및 이들의 혼용 효과와 직접 체세포배 형성 효율이 높온 최적 치상 조직을 찾고자 실험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S고체배지에 잎 절편을 치상한 결과 BA를 1.0 mg/l 이상처리 한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체세포배가 형성되었으나 BA 1.0 mg/1에 NNA를 혼용한 경우에는 캘러스만 형성되었고, BA 2.0 mg/l에 NAA를 혼용한 경우에는 캘러스 과정을 거쳐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2. MS 액체배지에 잎 절편을 배양한 결과 IAA와 NAA를 각각 0.5 mg/l로 처리하거나, IAA와 IBA를 각각 2.0 mg/l로 처리한 경우 직접 체세포배가 형성 되었다. 3. 잎 절편을 MS 액체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BA, zeatin 및 kinetin을 각각 2.0 mg/l로 처리한 경우 직접체세포배가 효과적으로 형성되 었다. 4. IAA 1.0 mg/l에 BA, zeatin및 kinetin을 혼용처리한 MS 액체배지에 잎 절편을 배양한 결과, zeatin 2.0mg/l을 혼용 처리한 구에서 직접 체세포배 형성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kinetin 2.0 mg/l 와 zeatin 5.0mg/l을 조합한 경우이었다. 5. 치상 6주 후부터 줄기, 엽병 및 잎 절편에서 직접 체세포배가 형성되었으나, 8주 후 치상 조직별 체세포배 형성율은 잎 절편에서 가장 높았다.

The effects of plant regulators on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in liquid culture of Rehmannia glutinosa were investigated and the proper explant for direct somatic embryo formation was studied. Direct somatic embryos were induced from leaf segments culture in the MS liquid medium containing 0.5 mg/l of both IAA and NAA, while IBA of 1.0 mg/l was required for the same effect. Many somatic embryos were directly formed at the concentration of 2.0 mg/l cytokinin such as BA, kinetin and zeatin, but somatic embryogenesis was relatively poor at above or below this level. Relatively more somatic embryos were induced in the combination of 1.0mg/l IAA and 2.0mg/l zeatin. Formation of somatic embryos begun after 6 weeks on stem segments, while 7 weeks both on petiole and leaf. However, overall production of somatic embryos after 8 weeks was higher in leaf segment than that of stem segment.

저자
  • 박주현 | Park, Ju-Hyun
  • 채영암 | Chae, Young-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