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향초의 생육시기에 따른 정유성분 분석 및 Estragol 함량의 변이 KCI 등재

Analysis of Essential oil and Variation of Estragol content in Different Growth Stages of Agastache rugosa Kuntz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67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충북, 경남, 전남으로부터 배향초 종자를 수집하여 수원에서 재배하면서 수집종간 정유와 estragol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건물중을 기준으로 생육정도를 비교한 결과, 가령산종과 순천종은 초기 생육이 좋았으며 목포종과 진도종은 개화 후 생육이 좋았다. 반면 담양종은 수집종 중에서 건물중이 가장 가벼웠다. 2. 대체적으로 estragol 함량은 각각 잎 82.3~89.1%, 화기 81.1~89.2%, 줄기 72.0~45.6%였으며, 수집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고, 개화성기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3. 정유함량은 개화성기에 1.0% (잎 1.0%, 화기 2.1%, 줄기 0.5%)로 수확시기 중 가장 높았으며, 특히 개화성기에 수확한 목포종의 화기는 3.3%의 정유함량을 보여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4. 건물중과 정유함량이 좋았던 개화성기에 가장 많은 정유와 estragol이 생성되었으며, 수집종중에서는 목포종과 진도종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ssential oil and its composition, and estragol content at different growth stages in the local collections of A. rugosa. Estragol was the major constituent in essential oil of all collections tested. Estragol content in essential oil was 82.3~89.1% in leaves, 81.1~89.2% in inflorescence, 72.0~45.2% in ste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nine local colletions. At full bloom stage, essential oi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wth stages and the highest content of estragol in essential oil was appeared at this stage. Especially, the content of essential oil in the inflorescence of Mokpo collection was 3.3%,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collections. Mokpo and Jindo collections produced much more essential oil and estragol than the other collections both at full bloom and ripening stages.

저자
  • 옥현충 | Ok, Hyung-Chung
  • 송지숙 | Song, Ji-Sook
  • 채영암 | Chae, Young-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