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성(土性)에 따른 길경(桔梗) 생육(生育) 및 사포닌 함량(含量) KCI 등재

Root Yield and Saponin content in Different soil Texture of Platycodon grandiflorum A.D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6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본(本) 시험(試驗)은 1997년(年)부터 1998년(年)까지 2년간(年間) 사각 pot를 이용하여 식양토, 미사질양토, 사양토 등 3토성(土性)을 처리하여 년수별 생육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시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성처리간 년수별 길경(桔硬) 경장의 경시적(輕視的) 변화를 보면 1년생(年生)은 7월(月) 10일(日)에서 8월(月) 10일(日) 사이, 2년생(年生)은 5월(月) 20일(日)에서 6월(月) 20일(日) 사이에서 최고로 성장 하였고 엽수, 분얼수, 분지수는 식양토가 양호하였으며, 사양토, 미사질양토 순(順)으로 많았다. 1년생(年生) 길경(桔硬)의 출현기 는 토양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개화기는 식양토가 가장 빠르고 엽수 및 분얼수도 많았으며 주근장, 지근수, 주근경도 식양토가 사양토, 미사질양토보다 크고, 2년생(年生)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건근수량(乾根收量)은 식양토에서 1년생(年生)은 274kg/10a, 2년생(年生)은 934kg/10a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사양토. 미사질양토 순(順)이었고, 주근(主根) 표피색(表皮色)은 식양토는 담갈색, 사양토, 미사질양토 갈색이었으며, 주근육색(主根肉色)은 식양토가 황백색이였다. 길경(桔硬) 1년색(年生), 2년생(年生)의 엑스 함량은 사양토가 1년생(年生) 47. 1%, 2년생(年生)은 36.3%로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미사질양토, 식양토 순(順)이었으며, 반면에 조(粗)사포닌 함량은 식양토가 1년생(年生)은 3.0%, 2년생(年生)은 3.6%로서 많은 편이었으나 토양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oil texture in agronomic characteristics, root yield and quality of balo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Three kinds of soil texture, sandy loam, silt loam and clay loam, were tested for two years. Baloon flowers were seeded with 20cm row space and cultivated in the one square meter pot with 0. 6m depth. Fifty plants per pot were remained. In growth characteristics of one-year-old plants, shooting d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oil texture. The ratio of stem growth was highest between July and August. In two-years-old plants, it was showed between May and June. Plants grown on clay loam showed the highest growing characteristics than those of other soil textures. Dry root weight cultivated on clay loam was 274kg/10a in one-year-old and 934kg/10a in two-years-old plants. The content of ethanol extracts from root was highest at those of sandy loam as 47.1 % in one-year-old root. The crude saponin content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kinds of soil texture.

저자
  • 성재덕 | Seong, Jae-Duck
  • 김현태 | Kim, Hyun-Tae
  • 김금숙 | Kim, Geum-Soog
  • 한상익 | Han, Sang-Ik
  • 곽용호 | Kwack, Yo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