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약 품종의 가공방법에 따른 엑스 함량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n the Extract Content by Different Processing Method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Roo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88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한국산 재배작약의 품질평가 기준 확립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재매작약의 생육년수, 품종, 건조방법에 따른 작약의 성분적 품질평가의 한 요인이 되는 엑스 함량을 검토하고 아울러 작약의 활성효과 중 항염증 작용 및 위액분비 억제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된 엑스의 pH 변화 양상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년수의 차이에 따른 엑스 함량 및 pH변화를 검토한 결과 유피근, 거피근 모두 생육년수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2~4년생 작약의 유피근 함유엑스 함량이 거피근보다 3.7%~9.2% 높은 양상을 나타내므로 작약근 껍질부위에도 엑스 추출 시 용출되는 물질이 다량 존재함을 알 수 있다. 2. 4년생 의성작약, 영천작약 및 좀작약을 각각 유피근과 거피근으로 가공하고 상온에서 음건한 후 각 품종별 엑스함량 및 엑스의 pH변화를 조사한 결과 엑스 함량의 경우 유피근, 거피근 모두 품종 간 차이를 나타내었고, 영천작약이 유피근, 거피근 각각 36%, 30% 수준으로 의성 작약 및 좀작약 보다 높은 엑스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엑스의 pH는 품종 간 차이가 인정 되지 않았다. 3. 4년생 의성작약을 대상으로 건조방법에 따른 엑스 함량 및 엑스의 pH 변화를 검토한 결과 유피근, 거피근 모두 건조방법 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엑스 함량은 유피근의 경우 상온 음건이, 거피근은 80℃ 수증건법 이 가장 높았고, 동결건조법은 유피근, 거피근 모두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엑스의 pH변화는 유피근, 거피근 모두 냉동건조법이 pH 5.1 수준으로 가장 높았고, 80℃ 수증건법이 유피근, 거피근 모두 pH 3.7 수준으로 가장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quality evaluation in peony root (Paeonia lactiflora Pall.) cultivated in Korea. The contents of extract and changes of extract pH in peony root with different root ages, cultivars and drying method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extract and changes of extract pH in peony root with the removed and the unremoved cork layer showed no difference among different root ages.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extract in the root with the unremoved cork layer which was two- to four-year-old, were higher by 3.7 to 9.2% than those in the root with removed cork layer. This suggests that cork layer might be a good source of extracts. The contents of extract in root of Youngchonjakyak in both the removed and the unremoved cork layer were 36% and 30%, respectively and were higher than of Euisungjakyak and Jomjakyak, but the extract p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cultivars which were four-year-old. It showed that the contents of extract and the changes of extract pH in peony root with the removed and the unremoved cork layer of Euisungjakyak, which being four-year-old, showed clear difference at various drying methods. Among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it showed that the contents of extract of that with unremoved cork layer in the room temperature drying method was 32.8%, and that of root with the removed cork layer in the 80℃ hot water treatment drying method was 28.1% which were the highest values, respectively. The pH of extract in freeze drying was the highest (about 5.1), and the 80℃ hot water treatment drying showed the lowest (about 3.7).

저자
  • 정명근 | Choung, Myoung-Gun
  • 안영남 | An, Young-Nam
  • 강광희 | Kang, Kwang-Hee
  • 조영손 | Cho, Young-Son
  • 김재현 | Kim, Jae-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