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물자원의 Prolyl Endopeptidase 저해활성 탐색 KCI 등재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Prolyl Endopeptida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9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200종의 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PEP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81종의 식물추출물은 10~30% 범위의 저해율을, 28종의 식물추출물은 10%이하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총 200종의 식물추출물 중 약 55% 정도의 식물추출물이 30%이하의 낮은 PEP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Prunus mume (매화나무) 잎 (95.3%), 노루발과 (Pyrolaceae)의 Pyrola japonica (노루발) 잎과 줄기 (93.2%), 물레나물과 (Hypericaseae)의 Hypericum ascyron (물레나물) 지상부 (90.2%), 범의귀과(Saxifragaceae)의 Astilbe chinensis var. typica (노루오줌) 지상부 (90.1%),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Elaeagnus umbellata (보리수나무) 잎과 줄기 (90.1%)등 5종의 추출물들이 5 ppm에서 PEP에 대하여 90% 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Prolyl endopeptidase (PEP) is proline-specific serine protease, cleaving peptide bonds on the biologically active neuropeptides such as substance P, vassopressin, and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and is, therefore, suggest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learning and memory process. In this work, the inhibitory effect of plant extracts on PEP was investigated. Out of 200 plant extracts, Prunus mume, Pyrola. japonica, Hypericum ascyron, Astilbe chinensis var. typica, and Elaeagnus umbellata inhibited more than 90% of PEP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of 5 ppm.

저자
  • 김금숙 | Kim, Geum-Soog
  • 이승은 | Lee, Seung-Eun
  • 이희주 | Lee, Hee-Ju
  • 김이민 | Kim, Yi-Min
  • 전소영 | Jeon, So-Young
  • 박춘근 | Park, Chun-Geon
  • 성낙술 | Seong, Nak-Sul
  • 송경식 | Song, Kyung-S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