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논 . 밭재배에 따른 인삼의 생육 및 성분 특성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mpounds of Ginseng Cultivated by Paddy and Upland Cultiv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9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밭재배와 논재배처럼 토양환경이 상이한 조건에서 재배된 인삼의 지상부 생육의 경시적 변화 및 근부특성과 성분함량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금산지방의 직파재배 4년근 밭재배 및 논재배 농가포장을 선정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논토양의 미사와 점토함량 그리고 토양수분과 공극율은 밭토양보다 뚜렸히 높았는데, 재배기간 동안의 토양수분함량 범위는 논재매 17.5~19.5%로 적당하였으나 밭재배는 7.0~12.8%로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논토양은 밭토양보다 인산과 칼슘함량이 적으나 염류농도와 유기물, 질산태질소, 칼륨, 마그네슘 함량이 높아 비교적 양호한 토양조건을 보인 관계로 초장, 생체근중 및 주당건물중 등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은 논재배가 밭재배보다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2. 논 밭재배간 순동화율 (NAR)과 작물생장율 (CGR) 직이 치밀하지 못했다는 Mog et al. (1981)의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표 5와 같이 생체근중의 분포비율은 직파 4년 재배에서 논 밭재배 모두 100 g 이상의 인삼은 생산되지 않았는데, 60 g 이상인 것의 비율이 논재배 5.3%로 밭재배 0.9%에 비해 많았으며 40 g 이상인 것의 비율도 논재배가 밭재배보다 높았다. 은 5월과 9월에 가장 뚜렸한 차이를 보였으며, 논재배시 근중은 9월 수확기에 가장 큰 증가를 보였으나 밭재배는 9 월에 조기낙엽 증가로 인하여 근중비대가 정지되어 뚜렸한 차이를 보였다. 3. 수삼수량은 논재배가 밭재배보다 약간 많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적변 발생율도 논 밭재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논 밭재배간 동체직경과 동체장, 뿌리의 수분함량 및 조사포닌과 50% 에탄올 추출 엑스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조사포닌과 엑스함량은 밭재배가 높았다. 5. 동체의 경도는 5~8월까지 논 밭재배 간에 서로 비슷하였으나 9월에 밭재배는 급격히 감소하여 뚜렸한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 of root chemical components in four years old ginseng by paddy and upland cultivation at farmers' field in Korea. Proportions of silt, clay, liquid phase and porosity were higher in paddy soil than upland soil. The range of liquid phase was 17.5~19.5% in paddy and 7.0~12.8% in upland during growth period. EC and the other contents of OM, NO3-, K2O, and Mg in paddy soil were higher than those of upland soil, while the contents of P2O5 and Ca were less than those of upland soil. The levels of chemical components of tested soil exceeded recommended range in EC, NO3- and Ca of paddy soil, and in P2O5 and Ca of upland soil. Stem length, fresh root weight and total dry weight per plant in paddy were greater than those of upland. Root weight in paddy-ginseng showed a great increase on September, while it was not increased in upland because of early defoliation. Net assimilation rate and crop growth rate by paddy and upland cultivation showed distinct differences on May and September, and those of paddy-ginseng were higher than those of upland-ginseng. Yield and ratio of red-colored roo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paddy and upland cultivation,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iameter and length of primary root, contents of crude saponin and 50% ethanol extracts of primary root, and water content of root. Hardness of primary roo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paddy and upland cultivation until August, but it showed distinct difference on September, at which the hardness in upland cultivation was drastically decreased.

저자
  • 이성우 | Lee, Sung-Woo
  • 강승원 | Kang, Seung-Won
  • 김도용 | Kim, Do-Yong
  • 성낙술 | Seong, Nak-Sul
  • 박희운 | Park, Hee-W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