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율무의 분얼순서에 따른 생육 및 수량 기여도 KCI 등재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by Tillering Sequence in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tap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9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파종한 후 최고분얼기에 엽의 전개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분얼순서를 정한 후 분얼순서에 따른 생육특성,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형질간 종실수량에 기여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형질의 경우 재식밀도간에는 표준구인 60×15 cm에 비하여 소식구인 60×25 cm에서 간장은 20 cm 짧았고 간직경은 0.9 mm 굵었고 총포수는 4.7개 많았으나 착립 절위는 1.7절 낮게 착립되었다. 분얼출현이 늦을수록 간장은 짧아지고 간직경은 가늘어졌다. 2. 수량형질의 경우, 채식밀도간에는 표준구인 60×15 cm 구에 비하여 소식구인 60×25 cm 구에서 지간장(枝桿長)은 2.55배 길었으며 분얼당 종실수는 2.45배, 분얼당 총포수는 1.96배 많았으나 등숙율은 12.2% 낮았으나 100립중은 0.5 g 가벼웠다. 3. 분얼순서간에는 분얼출현이 늦을수록 지간장(枝桿長)은 짧아지고, 분얼당 종실수는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총포수는 주간에서 가장 많았으나, 분얼출현이 늦을수록 더 뚜렷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100립중은 60×15 cm 구에서는 출현이 늦은 분얼일수록 가벼워졌으나, 60×25 cm 구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10a당 수량에 대한 분얼순서별 기여정도는 두 재식 밀도구에서 주간을 포함한 1차분얼인 1, 2, 3, 4째 출현된 분얼에서 표준구인 60×15 cm 구에서 84.5%, 소식구인 60×25 cm 구에서 84.1%를 차지하여 1차 분얼이 수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았다. 5. 계식밀도별 10a당 수량에 대한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직접효과는 표준구인 60×15 cm 구에서는 분얼당 종실수, 100립중, 등숙율 순이었으며, 소식구인 60×25 cm 구에서는 분얼당 종실수, 분얼당 총포수, 등숙율, 100립중 순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and the contribution to the yield according to the emergent sequence of tiller under two planting density (60×15 cm, 60×25 cm) in Coix lachryma-jobi L. var. mayuen Stapf. The average culm length and number of rachillas of 60×25 cm planting density were 20 cm shorter and 4.7 higher, respectively, whereas seed setting position of 60×25 cm planting density was 1.7 nodes lower compared with 60×15 cm planting density. Culm length and culm diameter of each tiller became shorter and thinner as the tiller emerged later. Length of rachillas was longer, number of grains was higher and ripening rate was also higher in 60×25 cm planting density than those of 60×15 cm planting density, whereas 100 grain weight in 60×25 cm planting density was lower by 0.5 g compared with 60×15 cm planting density. Length of rachillas and number of grains according to the emergent sequence of tiller were shown shorter and lower as the tiller emerged later. The highest number of bract was obtained from the main culm in both planting densities. 100 grain weight according to the emergent sequence of tiller became lower as the tiller emerged later in 60×15 cm planting density, but there was no clear tendency in 60×25 cm planting density. Among 8 tillers, 5th tiller and 4th tiller of main culm contributed 84.4% to the yield in 60×15 cm planting density, while it was 84.1% in 60×25 cm planting density. Analysis of path coefficient to grain yield showed that direct effect was the highest in the number of grain per tiller followed by in the 100 grain weight and in ripening rate.

저자
  • 이은섭 | Yi, Eun-Sub
  • 윤성탁 | Yoon, Seong-Tak
  • 박경열 | Park, Kyeong-Y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