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느릅나무와 시무나무의 항산화 활성 KCI 등재

Antioxidant Activity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 and Hemipteleae davidii 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49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한약재로서 혼용되고 있는 느릅나무 및 시무나무의 수피와 근피의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 함량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 라디칼에 대해 느릅나무 근피와 수피의 80% 에탄올 추출물은 10 μg/ml의 농도에서도 각각 41.4% 및 35.6%의 활성을 보여 다른 추출물의 활성 (2.3~24.0%)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superoxide 라디칼에 대해서는 200~5 μg/ml의 농도에서 느릅나무 및 시무나무의 수피와 근피로부터 얻어진 모든 추출물이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느릅나무 근피의 80%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좀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사람의 저밀도지단백 (LDL) 산화에 대한 실험 결과 느릅나무 수피 및 근피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10 μg/ml의 농도에서 84.3% 및 81.7%로 다른 추출물들의 활성 (31.3%~78.2%)보다 비교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된 모든 추출물은 linoleic acid 과산화에 대해서 α-tocopherol보다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총페놀 함량은 느릅나무 근피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50.8%로 가장 높았으며 시무나무 근피의 물 추출물이 5.6%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 느릅나무의 근피와 수피가 시무나무의 근피와 수피보다 더 효과적인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며 특히, 느릅나무 근피의 80% 에탄올 추출물은 가장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ortex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 and Hemipteleae davidii P. have been used withou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ountries as oriental medicine for treatment of various disord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ifference in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of these medicinal materials. Root cortex and trunk cortex of two medicinal plants were extracted with 80% ethanol (at 85℃) and water (at room temperature), respectively. All of the extracts at 200~5 μg/ml, showed more effective scavenging activity on superoxide radical than ascorbic acid, and 80%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Ulmus root cortex (URC) was more effective.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radical of 80% ethanol extracts from URC and Ulmus trunk cortex (UTC) at 10 μg/ml, (41.4, 35.6%)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ix extracts and α-tocopherol (2.3~24.0%). Inhibitory activities on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of 80% ethanol extracts from UTC and URC (84.3, 81.7%) at 10 μg/ml (31.3~78.2%)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ix extracts and α-tocopherol. However, antioxidant activities on linoleic acid peroxidation of all of the extracts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at α-tocopherol. Total phenol content of 80% ethanol extract from URC was the highest value as 50.8% and that of water extract from HRC was the lowest as 5.6% among the extract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Ulmus root cortex was the most effective in antioxidant activity.

저자
  • 이승은 | Lee, Seung-Eun
  • 김윤상 | Kim, Yun-Sang
  • 김지은 | Kim, Ji-Eun
  • 방진기 | Bang, Jin-Ki
  • 성낙술 | Seong, Nak-S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