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물 유래 조효소에 의한 감소 Liquiritin의 Liquiritigenin으로의 변환 KCI 등재

Biotransformation of Liquiritin in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 into Liquiritigenin by Plant Crude Enzym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2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감초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중 flavonoid 지표물질인 liquiritin이 들어있는 분획 (GUE6)에 살구 및 복숭아 종자로부터 얻은 조효소액 (PDE, PAE, PPE)을 법제 처리하였다. 각 조효소액에서 β-glucosidase 활성도는 아몬드 (P. dulcis) 259.6 U/g 살구 (P. persica), 복숭아 (P. persica) 조효소액의 β-glucosidase 활성도가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PDE, PAE, PPE를 이용한 발효 법제 후 liquiritigenin의 함량 비교 결과, 효소중의 β-glucosidase에 의해 liquiritin이 대사되어 항산화, 향군, 세포 독성 억제, 항치매, 항피부암 등 많은 약리효능을 가진 활성 물질인 liquiritigenin이 생산됨이 확인되었으며, 세효수 모두 liquiritin에 1.2배의 효소 처리 시 가장 대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변환을 위한 최적 농도로 결정되었다 세효소 중 특히 PPE 처리 시 liquiritin이 모두 liquiritigenin으로 변환됨으로써 liquiritin의 변환에 복숭아 종자 유래 효소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Liquiritin in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 was treated with three different plant crude enzymes (Prunus dulcis enzyme; PDE, P. armeniaca enzyme; PAE and P. persica enzyme; PPE) for biotransformation. The resulting product of liquiritin was analyzed by TLC and HPLC. The βglucosidase activities of crude enzymes were 259.6 U/g (PDE), 407.6 U/g (PAE) and 445.8 U/g (PPE), respectively. The liquiritin was converted to liquiritigenin after 12 hours of incubation with the crude enzymes. Liquiritigenin content reached its maximum level after the treatment with PPE at 37℃.

저자
  • 박민주 | Park, Min-Ju
  • 나인수 | Na, In-Su
  • 민진우 | Min, Jin-Woo
  • 김세영 | Kim, Se-Yeong
  • 양덕춘 | Yang, Deok-C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