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갯방풍의 자생지역별 지방산 조성과 phytosterols의 함량 KCI 등재

Contents of Fatty Acids and Phytosterols of Glehnia littoralis among Habitat Areas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27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한반도에 자생하는 갯방풍의 부위별 식물성 스테롤과 지방산을 탐색해 자생지역별 함량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잎에 있어서 지방산 함량은 영광에서 채취한 시료의 경우 스테아르산과 올레산 함량비율이 각각 삼척, 영덕, 부안, 해남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으나, 뿌리와 종자의 지방산 함량비율은 지역별 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hytosterols의 평균 함량은 campestreol이 3.8μg g-1, stigmasterol이 16.8μg g-1, β-sitosterol이 33.7μg g-1이었으며, 울진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ntents of fatty acids and phytosterols in Glehnia littoralis according to habitat areas. In leaves of G. littoralis collected from Yeong-deok, fatty acids cont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aera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tents of roots and seeds according to habitat areas. Average phytosterols contents of 10 habitat areas were 3.8μg g-1 (campestreol) 16.8μg g-1 (stigmasterol) and 3.7μg g-1 (β-sitosterol), respectively. G. littoralis collected from Uljin showed the highest phytosterols contents than that of the other aeras.

저자
  • 김성민 | Kim, Seong-Min
  • 신동일 | Shin, Dong-Il
  • 송홍선 | Song, Hong-Seon
  • 윤성탁 | Yoon, Seong-T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