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체운동학적으로 본 충돌회피동작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Ship`s Collision Avoiding Action Analyzed from a Viewpoint of Ship Kinema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6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 at Sea) 제 15조, 제 16조 및 제 17조는 횡단상태에 있는 선박들의 피항방법에 대해서 지시하고 있으나, 피항선이 피항동작을 취할 안전한계접근거리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 거리를 선체운동학적으로 해석하여 이에 대한 산출식을 도출하였다. 실선시험에서 소형 및 대형선의 조종성지수를 구하고, 이를 산출식에 적용하여 안전한계접근거리를 계산하였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형선 및 대형선을 막론하고 가장 큰 거리를 두고 피항동작에 들어가야 하는 경우는 양선박이 조우하는 침로교각이 90˚부근의 각도이며, 안전한계 접근거리는 소형선(200~300 ton급 선박)에서는 자선길이의 약 5배 이상, 대형선(100,000 ton급 선박)에서는 자선 길이의 약 11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양선박이 조우하는 침로교각이 크게 둔각인 경우에는 적은 예각인 경우보다 충돌의 위험이 더 크므로, 더 큰 거리를 두고 피항동작에 들어가야 하며, 특히 대형선인 경우에는 주의를 요한다. 3.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제 16조의 피항선의 동작은 물론, 동 제 17조 a항(ii)호의 유지선의 피항동작도 위의 안전한계접근거리 밖에서 이루어져야하며, 부득이 안전한계접근거리이내에서 피항동작을 취할 때는 주기관의 동작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4. 횡단상태에 있는 양선박간에 피항선이 변침만으로 피항동작을 취하는 경우 본 논문에서 계산한 각침로교각에 대한 안전한계거리를 미리 염두에 두고 피항조선을 하게되면 감각에 의한 조선방법으로 야기되는 충동해난사고를 지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e rule 15, 16 and 17 of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s at Sea direct actions to avoid collision when two power-driven vessels are crossing. But these rules do not present the safety minimum approaching distances outside which a give- way vessel deeps out of the way of a stand-on vessel.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d the ship's collision avoiding actions from a viewpoint of ship kinematics as the method to calculate this distance. The author worked out mathematic formulas for calculating the safety minimum approaching distances outside which the give-way vessel takes the actions to avoid collisions in accordance with the cross angles of the crossing vessels' courses. Figuring out actually the values of maneuvering indices of the M. S. Koan Ack San (GT: 224tons), the training ship of th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and the M. S. Golden Clover (GT: 101, 235tons) of the Eastern Shipping Co., Ltd. through their Z test, the author applied these values to the calculating formulas and calculated the safety minimum approaching distances. The results of calculations are as follows; 1. The greatest distance is to be kept by the give-way vessel to avoid collision when the cross angle of courses is 90˚ or near it. In such case the safety minimum approaching distance of a small vessel must be more than 5 times of her own length and that of a large vessel more than 11 times of her own length. 2. Collision danger is greater when crossing angle is obtuse than in an acute angle, therefore greater distance is to be kept by the give-way vessel to avoid collision in the case of the obtuse angle. 3. The actions to be taken to avoid collisions by the give-way vessel in Rule 16 and by the stand-on vessel in Rule 17(a)(ii) of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s at Sea, must be done outside the above safety minimum approaching distance. When inevitably such actions are to be taken within the safety minimum approaching distance, they should be accompanied with engine motions.

저자
  • 김기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