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프리카 사하라 연안 트로올 어장의 어획량분포에 관하여 KCI 등재

Distribution of the Trawl Catch off the Shara Coast of Afric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6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한국 토로올어선들이 아프리카 사하라 연안어장에 출어하여, 1975년 5월부터 1976년 4월까지, 이 해역의 중심어장으로 알려진 22˚00'~25˚30'N의 연안에서, 연 16,725척이 252,609회 예망하여, 살오징어 3,754,786kg, 대형갑오징어(체중 300g 이상) 7,540,532kg 소형갑오징어(체중 300g 미만) 9,539,570kg, 문어 11,130,462kg, 서대 2,010,540kg, 돔류 2,360,970kg, 기타 어종 15,951,250kg을 어획하였다. 이들이 어획된 해역을 경위도 30분간의 소해구로 분할하고, 이 소해구별 월평균 예망당 어획량을 구하고 그로부터 어종별 어획량 분포를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종별 예망당 어획량을 비교하면, 살오징어 14.9kg,, 소형갑오징어 대형갑오징어 37.8kg, 문어 44.1kg, 서대 8kg, 돔류 9.3kg 기타어종 63.1kg의 비율로 혼획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살오징어는 23˚00'N 이남과 24˚3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8~11월이었다. 3) 갑오징어는 대형은 23˚0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12~5월이었으며, 소형은 23˚3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4~6월과 11~1월이었다. 4) 문어는 23˚0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3~4월과 9~1월이었다. 5) 서대는 23˚0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6~11월이었다. 6) 돔류는 23˚3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1월이었다. 7) 기타어종은 23˚3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0월이었다

Data on the trawl operation was compiled from the Korea stern trawlers operated in the sea off the Sahara coast of Africa from May 1975 to April 1976. The distribution of some important demersal fishes were investigated by calculating the catch per haul in every fishing ground sections divided by every fishing ground sections divided by every 30' of latitude and longitud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mean catch per haul calculated as: squid 14.9kg, large cuttlefish 29.9kg, small cuttlefish 37.8kg, octopus 44.1kg, sole 8.0kg, seabream 9.3kg and miscellaneous fishes 63.1kg. Where cuttlefish is divided into two sizes, large or small by if it weighs over 300kg or not. 2. Squid were caught mostly from August to November in the northern part of 24˚30'N and southern part of 23˚30'N. 3. Large cuttlefish were caught mostly from December to May of the next year, in the coast from 23˚00'N to 25˚00'N, where as small cuttlefish were caught mostly from April to June and from November to January of next year, in the coast from 23˚30'N to 25˚00'N. 4. Octopus were caught mostly from September to January of the next year and from March to April. in the coast from 23˚00'N to 25˚00'N rather in the offshore than in the near coast. 5. Miscellaneous fishes including seabream were caught from May to November, sole from June to November and the others from May to October.

저자
  • 김진건 | Kim, Jin-Geon
  • 손태준 | Son, Tae-J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