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198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기가 자망에 이망될 숙건하에 그물면에 작용하는 붕어(Carassius carassius)의 유영력을 시험수조에서 strain gauge를 써서 즉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순간최대유영력 및 지속최대유영력과의 체중과의 관계는 F 하(M) =1.45W, F 하(s) =0.29W 이다. 2. 순관최대유영력 및 지속최대유영력과의 체중과의 관계는 F 하(M) =0.11L 상(2.63), F 하(S) =0.15L 상(1.77)이다. 3. 붕어의 유체저항계수는 C 하(s) ≒0.287이다.
        4,000원
        2.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토로올어선들이 아프리카 사하라 연안어장에 출어하여, 1975년 5월부터 1976년 4월까지, 이 해역의 중심어장으로 알려진 22˚00'~25˚30'N의 연안에서, 연 16,725척이 252,609회 예망하여, 살오징어 3,754,786kg, 대형갑오징어(체중 300g 이상) 7,540,532kg 소형갑오징어(체중 300g 미만) 9,539,570kg, 문어 11,130,462kg, 서대 2,010,540kg, 돔류 2,360,970kg, 기타 어종 15,951,250kg을 어획하였다. 이들이 어획된 해역을 경위도 30분간의 소해구로 분할하고, 이 소해구별 월평균 예망당 어획량을 구하고 그로부터 어종별 어획량 분포를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종별 예망당 어획량을 비교하면, 살오징어 14.9kg,, 소형갑오징어 대형갑오징어 37.8kg, 문어 44.1kg, 서대 8kg, 돔류 9.3kg 기타어종 63.1kg의 비율로 혼획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 살오징어는 23˚00'N 이남과 24˚3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8~11월이었다. 3) 갑오징어는 대형은 23˚0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12~5월이었으며, 소형은 23˚3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4~6월과 11~1월이었다. 4) 문어는 23˚00~25˚00'N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3~4월과 9~1월이었다. 5) 서대는 23˚0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6~11월이었다. 6) 돔류는 23˚3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1월이었다. 7) 기타어종은 23˚30'N 이남과 25˚00'N 이북의 해역에서 많이 어획되었고, 주어기는 5~10월이었다
        4,200원
        3.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e polypropylen rope has been used for the head rope, and the lead cored polypropylen rope for the ground rope in the anchovy boat seine. These ropes revealed the disadvantage that deforms the net shape due to their elongation. Te improve the disadvantage, authors developed the rope of new construction which is cored by wires and wrapped by polypropylene fibers, 20mm in diameter for the head rope and 40tnm for the ground rope. To compa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mproved rope with the conventional ones, some factors are valu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found. 1. The improved ropes rev~al some disadvantages, such as the head rope is heavier, the ground rope lighter, and both of them are stiffer than the conventional ones, contrary to the required condition of ropes) However no special difficulties are found in practical use. 2. The improved ropes display much advantages, such as elongation is 30 percent less, breaking strength is 35 precent greater, and elastic recovery is 10 percent greater than the conventional on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improved ropes are more suitable for the head rope and the ground rope of the anchouy boat seine net than the conventional ones.
        3,000원
        4.
        197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kipjack, Katsuowonus vagans, yellow tail Seriola quinqueradiata and Scomberomorus sinensis are largely caught by trolling gear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The author determined the hydrodynamic resistance of the trolling gears uscd in the waters, estimated the pulling force of the fish species above mentioned by use of body weight, and then calculated the minimum diameter of the lines of trolling gear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hydrodynamic resistance of the trolling gears present linear relationship in accordance with the towing speed of the gears. 2. The diameter of seizing leader, leader gut and branch line used in the waters might be durable to catch skipjack and yellow tail, whereas the diameter of those must be weak in intensity for Scomberomorus zinensis.
        4,000원
        5.
        197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Around the Jeju Island, 214 fish species are described by some authors, of which 53 species are regarded as major fishes for the object of commercial fishing. 2. Major fishing method around the Jeju Island are scoop net for anchovy, gill net for mackerels, long line for sea breams. For large pelagic fishes such as yellow tail, tolling method are expected.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