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파저항에서의 Neumann-Kelvin 문제에 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Neumann-Kelvin Problem of the Wave Resist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7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코너에서의 특이점이 weak 표면 특이점이라면, 반잠수 반원에 대한 Neumann-Kelvin 문제는 코너에서 속도가 유계인 한 개의 최소특이해를 가진다. 그러나 왜 유계인 조건이 코너에서 부과되어야 하는가 하는 명백한 물리적 이유는 없다. 코너는 정체점이 되고 여기서 섭동속도는 전진속도와 같다. 그리고 코너에서의 선형화는 타당하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것을 무시하고 코너에서 이 점을 가져야만 한다고 제안한다. 따라서 이것이 코너에서 약하거나 강한 특이점을 가지는 섭동방정식의 해를 찾기 위한 적당한 이유이다. 그러나 어떤 특이점이 적당한가를 결정하는 명확한 방법은 없다. Ursell은 그의 연구에서 (19)식의 p와 q를 0으로 두어 유일해를 결정하기도 하였다. Suzuki는 자유표면에 대하여 에너지 보존을 취하여 유일해를 확정시키는 부가적인 조건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G (ξ,η;x, y)는 y>0일 때 (x, y)에서 소스를 나타내며, 실제로 G (ξ,η;a, 0)는 weak 표면특이점이다. 최소특이해에 대한 표현은 (11)로부터 추론할 수 있고 각각의 코너에서 불연속 weak 표면특이점과 함께 소스의 연속적인 분포로 구성된다. Maruo는 세장체 이론의 적응으로부터 유도된 근사방법을 소개하였는데 이것은 Neumann-Kelvin 문제의 Kernel 함수에 대한 근사와 기본적으로 같다. 비록 왜 최소특이해가 2차원에서 택해져야 하는가에 대한 명확한 물리적인 이유는 없더라 해도, 어떻게 상응하는 유계조건을 3차원에도 적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최근 연구과제 중의 하나다. Ursell의 연구에 의한 경험은 앞으로 완전한 비점성 3차원 문제의 취급에 사용될 것이고, Maruo의 세장선 근사와는 다른 방법으로 3차원 Neumann-Kelvin 문제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alculation of the resulting fluid motion is an important problem of ship hydrodynamics. For a partially immersed body the condition of constant pressure at the free surface can be linearized. The resulting linear boundary-value problem for the velocity potential is the Neumann-Kelvin problem. The two-dimensional Neumann-Kelvin problem is studied for the half-immersed circular cylinder by Ursell. Maruo introduced a slender body approach to simplify the Neumann-Kelvin problem in such a way that the integral equation which determines the singularity distribution over the hull surface can be solved by a marching procedure of step by step integration starting at bow. In the present pater for the two-dimensional Neumann-Kelvin problem, it has been suggested that any solution of the problem must have singularities in the corners between the body surface and free surface. There can be infinitely many solutions depending on the singularities in the coroners.

저자
  • 김인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