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주변 어장에서의 수동어탐에 관한 연구 ( I ) - 이론적 고찰 - KCI 등재

A Study on Passive Fish Finder in the Fishing Grounds near the Korean Peninsula - The Theoretical Study for Passive Fish Finder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7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우리 나라 주변어장에서의 주요 어자원중 조기류가 수동어탑을 위한 대표적 어종으로 부각되었다. 음원수준을 150~180dB로 가정했을 때 선배열 형의 수동어탐기에 탐지될 수 있는 거리는 최저 3km에서 최대 20km 이상으로 추정되어 어탐거리의 획기적 증대가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조기류가 내는 700~800Hz 사이의 tocal noise의 특성은 수동형 어탐기에 의한 어종식별 거리 및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것임이 분명하다. 다만, 이 수동소나를 조기류외에 대형어군을 이루는 멸치, 칼치, 명태류, 쥐취류, 오징어 등에 적용 여부를 가늠하기에는 보다 많은 정량적 자료가 수집된 연후에 가능할 것으로 믿어진다.

The feasibility of passive detection of fishes which had been caught in the fishing grounds near the Korean peninsula was theoretically investigated. Considering the commercial importance and the acoustical informations readily identified, although many species of fish make noise, Croaker is clarified to be a representative fish for passive fish detection. Assuming a source level of the sound produced by croakers is given as 150-18OdB (re 1l'pa, 500 Hz bandwidth), The range detected by a passive line array sonar is estimated to be about 3-20km. In addition, the tonal noise (700~800Hz) made by croaker that is easily separated from underwater noise is expected to increase the ability to discriminate from the other species of fish.

저자
  • 김성부 | Kim, Sung-Boo
  • 장지원 | Chang, Je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