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태평양 오징어류의 연직 및 수평분포 KCI 등재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squids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structure in the North Pacific Oc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62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산진흥원 소속 부산 851호에 의해 1987~1990년 (4개년)과 1992~1993년 (2개년)의 하계 (7~9월)에 북태평양 (34˚~47˚N, 150˚ E~170˚W)에서 오징어채낚기 (오징어손줄낚시)에 의해 시험조업하여 어획된 6종의 오징어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오징어종류별 어획수충, 해양환경(수온, 염분) 및 어획률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어오징어는 아한대영역의 위도 41˚~43˚N 인 71~80m 수층의 수온 6~11℃, 염분 33.2~33.6‰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2. 갈구리오징어는 아한대영역의 위도 41˚~42˚N인11~20m 수층의 수온 10~12℃, 염분 32.9~33.6‰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3. 살오징어는 아한대영역 및 이행영역의 위도 40˚ 및 42˚N인 11~20m 수층의 수온 15~18℃,염분 33.6~34.0‰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4. 빨강오징어는 아한대수렴선 및 이행영역의 위도 39˚~41˚N인 표층~10m 수층의 수온 16~17℃, 염분 33.7~34.4‰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5. 두줄무늬빨강오징어는 아열대영역의 위도 37˚~39˚N인 11~20m 수층의 수온 18~20℃, 염분 33.8~34.6‰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6. 노랑점빨강오징어는 아열대영역의 위도 36˚~37˚N인 표층~10m 수층의 수온 24~25℃, 염분 34.2~34.4‰‰ 인 해역에서 높은 어획률을 보였다.

Vertical distribution of squids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structure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experimental squid hand jigging fishing by R/V Pusan 851 in the area of 34°∼47° N, 150° E∼170°W in the North Pacific in summer from 1987 through 1993 with exception of 1991. The 6 species of squids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as following; Boreopacific gonate squid (Gonatopsis borealis)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71-80m fishing depth of the Subarctic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6∼11℃ and salinity of 32.2∼33.6‰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41°∼43° N. Boreal clubhook squid (Onychoteuthis borealijaponica)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11∼20m fishing depth of the Subarctic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10∼12℃ and salinity of 32.9∼33.6‰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41°∼42N°. T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11∼20m fishing depth of the Transition Zone and the Subtropical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15∼18℃ and salinity of 33.6∼34.0‰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40°∼42°N. Neon flying squid (Ommastrephes bartrami)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surface∼10m fishing depth of the Subarctic Convergence Zone and the Transition Zone with water temperature of 16∼17℃ and salinity of 33.7∼34.4‰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39 °∼41°N. Luminous flying squid (Symplectoteuthis luminosa)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11 20m fishing depth of the Transition Zone and the Subtropical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18∼20℃ and salinity of 33.8∼34.6‰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s of 37°∼39°N. Purpleback flying squid (Symplectoteuthis oualaniensis) were mainly caught in the layer of surface∼10m fishing depth of the Subtropical Domain with water temperature of 24∼25℃ and salinity of 34.2∼34.4‰ and distributed in the latitude of 36°∼37°N.

저자
  • 김영승
  • 이주희
  • 박영철
  • 황선재
  • 김두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