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개량과 자동화조업시스템 개발- II 수중광 및 예망유속과 멸치의 도피반응 행동 분석 KCI 등재

Improving of the Fishing Gear and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 the Anchovy Boat Seine- II Analysis of escaping behaviour of anchovy in relation to underwater light and towing flow velo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63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1999년 5월 29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남해안에서의 수심에 따른 수중광의 변화와 조업시간의 경과에 따른 예망 상대유속을 측정하고, 권현망어구에 대한 체장 4~7cm정도 되는 멸치들의 도피 반응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해안 통영, 거제 부근 멸치어장에서 수심에 대한 수중광의 변화를 자연대수 곡선식으로 나타내면 광흡수 계수 c는 대표적인 관측점에서 주로 0.24~1.03 범위로 나타나서, 멸치의 어구에 대한 시인도가 어장에 따라 클 것으로 보인다. 2) 권현망어구의 원형그물과 1/2축소그물의 자루그물 입구부분의 상대유속을 기준으로 할때, 수비와 자루의 연결부분의 유속비는 평균 1.46, 자루부분의 유속비는 평균 0.67로 나타나서, 어구의 부위에 따른 상대유속변화가 멸치의 유영운동과 도피운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축소된 권형망어구에 있어서의 멸치의 대망행동을 관찰한 결과 수비와 자루연결부분에서 빠져나가는 1분당 멸치도피수는 평균 455미 정도였으며, 자루의 앞에서 예인방향으로 유영하는 깔대기를 빠져나가는 1분당 멸치도피 수는 평균 308미 정도로 나타나서, 어구 전체적으로는 상당수의 멸치들이 능동적인 도피행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Escape behaviour of the anchovy (Engralius japonica, total length 4-7cm) at the inside wing net and bag net in the anchovy boat seine was observed by underwater video camera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stimulus of the gear or relative water flow inside gear and reacting behaviour. The vertical attenuation coefficient of underwater illuminance in the offshore of Keoje island and Tongyoung was ranged from 0.24 to 1.03 and it could be affect visual range and visual contrast of the fishing gear. The relative water flow at the joint part between inside wing and bagnet while towing was 1.5 times higher than at the middle part of inside wing or fore part of bag net, but it was estimated under than maximum swimming speed of 4-7 cm anchovy. The mean escaping number of anchovy from end part of inside wing of 30 cm mesh to out side for a minute within visual range of video camera was 455 and anchovy swimming forward from bag net through flapper was 308. These results revealed anchovy could escape as voluntary response in spite of higher visual stimulus or higher water flow.

저자
  • 김용해
  • 장충식
  • 안영수
  • 김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