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산만의 투명도 변동 KCI 등재

Variations of Secchi Depth in Coastal Water, Masan Bay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64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1995년부터 2002 년까지 마산만의 4개 정점에서 3-4개윌 간격으로 관측한 투명도 자료를 정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개 정점에서 각각 33회씩 관측한 자료에서 투명도의 범위는 0.2∼7.2m 이었고 , 평균은 2.4m이었으며 변동계수는 60%이었다. 평균은 만의 외해쪽으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변동계수는 만의 안쪽으로 갈수록 큰 경향을 보였다. 2) 투명도의 월평균은 4월과 7 월에 비교적 낮고, 10 월 이후에 높게 나타났다. 3) 계절평균은 봄과 여름에 유사한 수준으로 낮고, 가을과 겨울에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변동계수는 봄에 가장 크고 다음이 여름이며, 가을과 겨울은 같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4) 연평균은 4개의 정점에서 모두 1995년과 1998년에 낮은 값을 보였으며, 변동계수는 1996년과 1998년 및 2002년에 정점별 차이가 작게 나타났다. 5) 정점간의 상관성 검토에서 Sl 과 S4 정점의 투명도 변화가 다른 정점과 구별되었다. Sl 의 유별성은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며, S4 의 유별성은 방류수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Masan Bay is one of the most heavily polluted bay in Korea owing to the large industrial complex and urban area. Water transparency, Secchi depth in meter, was observed 33 times totally at four sites during 1995 through 2002 and analysed statistically. The range was 0.2∼7.2m, mean 204m, and variation coefficient 60% in totally. Roughly speaking, monthly mean showed lower value April or July than other months. Seasonal mean showed lower in spring or summer than other seasons. Yearly mean was lowest in '95 and '98 during 7 years. Each sampling site showed a different patterns by the monthly, seasonal or yearly transparencies. Inner bay area, S1 site, showed lowest transparency and highest variation coefficient owing to the streamlets and urban area. And it was supposed that one of the important factor affecting different transparency distribution of most seaward site, S4 site, among four sites in the Masan Bay may be the underwater effluents of urban sewage water treated

저자
  • 염말구
  • 정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