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으로 어획된 수산자원의 계절변동 KCI 등재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catch by a coastal beam trawl in Jinhae Bay and Jinju Bay,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67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수산해양기술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구 한국어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rs and Ocean Technology)
초록

진해만과 진주만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총 4회의 어업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기간 동안, 진해만에서는 총 116종이 어획되었고, 그 중 어류가 62종, 갑각류가 24종을 차지하였다. 진주만에서는 총 105종이 분류되었고, 그 중 어류가 56종, 갑각류가 31종 조사되었다. 진해만에서는 등가시치, 마루자주새우, 갯가재가 우점하였고, 진주만에서는 마루자주새우, 주둥치, 두점박이민꽃게 순으로 우점하였다. SOM을 이용한 군집유형화 결과, 진해만과 진주만의 군집구성이 계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룹1에 묶여진 진주만 조사정점들은 민새우, 대하 등 갑각류와 주둥치 쥐노래미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4월 조사는 해역에 상관없이 모든 정점이 그룹2에 묶였는데 마루자주새우, 검은띠불가사리, 꼼치 등의 밀도가 높았다. 그룹3에 묶여진 진주만의 6월 조사정점들은 두점박이민꽃게를 포함한 다양한 갑각류와 도다리, 돛양태, 쉬쉬망둑 등의 다양한 어류가 우점하였다. 그룹4에 묶인 진해만의 6월~11월 조사정점에서는 등가시치, 흰베도라치 등의 어류가 우점하였다. 우점종인 마루자주새우는 6월까지 포란개체가 많이 어획되었고, 등가시치와 주둥치는 조사기간 동안 대부분 소형개체가 출현하였다. 이는 본 해역이 수산생물의 산란장 및 성육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eries resources in Jinhae bay and Jinju bay, were studied using shrimp beam trawl through a year of 2010.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117 species were collected in Jinhae bay. Species included were 63 species in Pisces and 24 in Crustacea. And a total of 106 species were collected in Jinju bay. Species included were 57 species in Pisces and 31 in Crustacea. The dominant species were Zoarces gilli, Crangon hakodatei and Oratosquilla oratoria in Jinhae bay, and Crangon hakodatei, Leiognathus nuchalis and Charybdis bimaculata in Jinju bay. The samples were mainly group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eason on the SOM. Group 1 with sample sites in Jinju bay, was characterized by high values of Parapenaeopsis tenella, Leiognathus nuchalis and Hexagrammos otakii. Group 2 with sample sites in April, were dominant Crangon hakodatei and Luidia quinaria. The samples in Group 3 were high values of Charybdis bimaculata and Pleuronichthys cornutus. Group 4 with sample sites in Jinhae bay, was characterized by high densities of Zoarces gilli and Pholis fangi. The dominant species, Crangon hakodatei, were catched egg-bearing females until June. Zoarces gilli and Leiognathus nuchalis were presented small size individuals during study period. It represented that study area is an important role in spawning and nursery ground for fisheries resources.

저자
  • 송미영 | Song, Mi-Young
  • 김주일 | Kim, Joo Il
  • 김성태 | Kim, Sung Tae
  • 이종희 | Lee, Jong Hee
  • 이재봉 | Lee, Jae 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