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칼슘施肥가 감자品種 '大西'의 內部褐色班點 發生에 미치는 影響 KCI 등재

Effects of Calcium Fertilization on the Occurrence of the Internal Brown Spot in Solanum tuberosum cv. Atlanti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20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칼슘시비량(施肥量)이 가공용 대서품종(大西品種)의 내부갈색반점발생(內部褐色斑點發生)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칼슘시비구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해 내부갈색반점(內部褐色斑點) 발생율(發生率)이 상당히 감소 되었으나 칼슘시비구간에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발생율이 감소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칼슘시비에 따른 생육상을 보면 발아율(發芽率), 초장(草長), 경수(莖數)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生草重(生草重)에서는 Ca (200kg/ha)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중심공동율(中心空洞率) 발생율(發生率)은 4처리 모두 16%이상 높은 발생율을 보였으나 칼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부갈색반점(內部褐色斑點) 발생(發生)은 괴경내에의 칼슘결핍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대서품종 재배시 칼슘시비를 해야 발생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calcium on the total tuber yield, dry matter content, internal brown spot and hollow heart of a processing potato cv. Atlantic were investigated to obtain some basic informations in summer cropping. The occurrence rate of the internal brown spots in cv. Atlantic tubers were highly decreased with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treated plots compared to the Ca-nontreated plo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s Ca-treated plots were shown.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main stems were not affected by the changes of the calcium levels, but top fresh weight was the highest in the plots of Ca(200kg/ha) level. In addition to its total yield, dry matter content, hollow heart was not affected by calcium fertilization. Therefore, the causal factor of the internal brown spot is attributed to the calcium deficiency in the tubers of cv. Atlantic.

저자
  • 김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