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2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만덕봉(1,035.3m)은 동경 128˚54'24", 북위 37˚36'53"에 위치하며 행정적으로는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왕산면 및 옥계면의 경계에 자리하는 산으로 본 지역에 분포하는 유용자원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유용자원식물상을 파악 하기 위해 1996년 4월과 9월 사이에 수집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또한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각 식물의 용도에 따라 8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Z-M방식에 의한 식물사회학적조사를 실시하여 군락표를 작성하였다. 본 지역에 자생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자원은 97과 298속 406종 70변종 8품종으로, 총 484분류군이 분포하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자원의 11.9%에 해당하고 양치식물계수(Pte-Q)는 1.1이었다.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이 46.7%, 목초용자원이 37.2%, 약용자원이 3.5.5%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용도를 알지 못하는 자원도 16.3%로 분포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털조록싸리, 노랑갈퀴, 사울제비꽃, 지리강활, 참배암차즈기, 오동나무(재),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등 1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특산식물 570종류의 2.6%에 해당한다. 그 외 회귀식물로는 고비고사리, 애기쐐기풀, 솔나리, 연영초, 꽃창포, 암대극 등이 분포한다. 한석산의 식생은 1군목, 1군단, 1아군단, 4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철쭉군목(꽤앵둥개-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신갈나무 전형하위군락(Typical community) B.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 (Callicarpo-Quercenion serratae Kim 1990) C. 소나무-산거울군락 (Carex humilis v.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D. 가래나무-가는잎쐐기풀군락 (Juglans mandshurica - Urtica angustifolia Community)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vegetation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of Mt. Mandukbong(1,035.3 m; 128˚54'24"E, 37˚36'53"N). This work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period of 1996.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97 families, 298 genera, 406 species, 70 varieties and 8 formae, Totaling 484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15 taxa(2.6%) were Korean endemic species. The forest were comparatively well conservated by Pteridophyta calculation(Pte-Q), 1.1 Useful of resources plants were Edible source(46.7%), Pasture source(37.2%), Medicinal source(35.5%), Ornamental source(12.1%)and Timber source(5.9%) respectively. The forest vege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s, 1 suballiances and 4 communities;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 - 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Typical community B. Quercus variablil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llicarpo - Quercenion serratae Kim 1990 C. Carex humilis v.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D. Juglans mandshurica - Urtica angustifloia community

저자
  • 박완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