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宥機質 肥料 施用이 柴胡의 根收量과 Saikosaponin 含量에 미치는 影響 KCI 등재

Effect of Organic Fertilizers Application in Root Yield and Saikosaponin Contents in Bupleurum falcat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22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삼조시호(三鳥柴胡)의 고품질(高品質) 생산을 위한 유기질 비종별(肥種別) 시용에 따른 생육특성 및 수량성(收量性)과 유효성분(有效成分) Saikosaponin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화학성은 시험전 토양에 비해 모든 유기질비료 처리가 유기물, 유효인산(有效燐酸), CaO 등의 함량이 증가된 경향을 보였고 유기질 비종별(肥種別)로 보면 볏짚퇴비+ 화학비료(化學肥料) 3요소(要素)처리구에 비해 계분(鷄糞) + 버섯 볏짚퇴비 둥의 처리구가 유기물, 유효인산(有效燐酸), CaO 등의 함량이 높아 유기질 시용 효과가 증대되었다. 2. 계분(鷄糞)+버섯볏짚퇴비 시용에서 출아율(出芽率)이 높았으며 볏짚퇴비 + 화학비료(化學肥料) 3요소(要素) 처리구에 비해 초장(草長) 14.2cm 길었고 엽수(葉數) 33매, 주당(株當) 분기수(分技數) 3.4개 많아 지상부 생장률이 증가되었다. 지하부 생장량은 퇴비 + 3요소(要素) 처리구에 비해 계분(鷄糞) + 버섯볏짚퇴비 처리구에서 주근장(主根長) 2.1cm 길었고, 주근장(主根長) 0.8mm, 지근수(枝根數) 2매 많아 근(根) 비대효과(肥大效果)로 인해 건근(乾根) 수량(收量)도 볏짚퇴비 + 3요소(要素) 처리구(0.62MT/ha)에 비해 복합처리(複合處理)인 계분(鷄糞) + 버섯볏짚퇴비 처리구가 39%로 증수(增收)되었다. 3. 식물체 부위별(部位別) 무기성분(無機成分)이 잎에서는 유기물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뿌리에서는 전실소(全室素), 인산(燐酸), 가황(加皇), 석회(石灰), 고토(苦土) 함량이 계분(鷄糞) + 버섯볏짚퇴비 처리구가 가장 증가되었다. 또한 뿌리의 총 Saikosaponin 함량은 볏짚퇴비 + 화학비료(化學肥料) 3요소(要素) 처리구 1.57%, 계분(鷄糞) + 버섯톱밥퇴비 처리구 1.64%, 버섯볏짚퇴비 처리구 1.66%, 계분(鷄糞) + 버섯볏짚 퇴비 처리구 1 71% 순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4. 시호(柴胡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특성은 건근(乾根) 수량(收量) 근(根)의 전실소(全室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총 Saikosaponin 함량과의 유의적(有意的)인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organic fertilizer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root yield and the levels of the efficacious constitutents saikosaponins in Bupleurum falcatum L. in the field of Chonnam RDA. Naju, 1994. Five organic fertilizers were used ; rice straw manure(RSM), rice straw(byproduct of mushroom)manure[RS(BM)M], pig-dropping sawdust manure(PSM),poultry manure(PM)and sawdust(byproduct of mushroom) manure[S(BM)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chemical properties, such as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K2O, CaO, and MgO of soil were increased on all plots with the addition of organic fertilizers, specifically in PM+RS(BM)M application. PM+RS(BM)M treatment was higher in emergence rate and better in the growth charaters of shoot, root parts of plants than those of conventional fertilization and the highest dried root yield resulted from using 39% PM+RS(BM)M treatment. Thus, the organic constituents of the plant leaves were affected in the same ways by all treatments, but the T-N, P2O5, K2O, CaO and MgO contents of the roots were highly increased in PM+RS(BM)M treatment, also the total saikosaponin levels in the roots increased with different organic fertilizers in the following order : 1.70% in PM+RS(BM) treatment, 1.66% in RS(BM) treatment, and 1.57% in RSM+N-P-K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the growth characters of shoot, root parts of plants, yield and contents of T-N, P2O5, K2O, total-saikosaponin in B. falcatum roots.

저자
  • 김명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