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知母의 生育特性과 部位別 Sarsasapogenin 含量 KCI 등재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Different Plant Par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22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실험은 지모의 생리, 생태적 특성과 성숙한 상태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5개의 수집종에 대해 1993년부터 '95년까지 충남농촌진흥원 특작포장에 재배하고 성숙된 지모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 함량을 T.L.C plate 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개 수집종 중 주로 종실(種實)형을 나타낸 것은 공주, 청양 수집종이고 영양번식(營養繁殖)형은 금산, 연기, 유성종에서 주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실(種實)형이 비종실형보다 생육(生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이 양호하였다. 2. BuOH에 엑스를 산(酸)으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한 후 T.L.C 용매(溶媒) 전개조건(展開條件)인 CHCl3 : MEK : EtOH의 비율을 11 : 2 : 0.5로 하여 sarsasapogenin 분리(分離)가 가능하였고 Dual wave length T.L.C scanner로 정량(定量)이 가능(可能)하였다. 3. 주근(主根)과 세근(細根)의 sarsasapogenin의 량(量)은 각각(各各) 1.67mg/10g, 1.31mg/10g으로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의 량(量)이 주근(主根)보다 1.1배(倍)로 높게 나타나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 계통(系統)의 물질(物質)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상부(地上部)의 sarsasapogenin 함량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different plant par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Five native-cultivar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for several agronomic traits. The collected native-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two seed-attached peduncle and vegetative propagation types. Seed-attached peduncle lines were predominance of growth traits than vegetative propagation. For the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each part was investigated, BuOH extarct of "timo" was developed on silica gel 60G plate using elution solvent(CHC12: Methyl ethyl Ketone : EtOH = 11 : 2 : 0.5). The developed plate were examined using Dual Wavelength Zig - Zag using. Content of sarsasapogenin in main root and lateral root were respectively 1.67mg/g and 1.31mg/g.

저자
  • 허일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