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단고추 자루식 장기 양액배지에 있어서 암면 대체배지를 개발코자 암면구를 대조구로하여 훈탄, 펄라이트, 훈탄(3) : 펄라이트(7), 훈탄(1) : 펄라이트(1), 출탄(7) : 펄라이트(3)를 두고, 이들 배지종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과 엽수는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훈탄(1) : 펄라이트(1)구에서 경경이 굵고 지상부 건물중과 근중이 무거웠으며 T/R율은 작았다. 2. 과장과 과수 역시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훈탄(1) : 펄라이트(1)와 훈탄(3) : 펄라이트(7)구에서 과장과 과수, 평균과중이 컸고, 수량도 많았다. 3. 식물체분석 결과 잎과 뿌리에 함유된 전질소와 인산은 훈탄(1) : 펄라이트(1)에서 많은 편이었다. 4. 수량은 수확 개시 4월 이후부터 계속 증가하여 7개월 후인 5월에 가장 많았고, 훈탄(1) : 펄라이트(1)구에서 수확 초기부터 후기까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많았다.
        4,000원
        2.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지모의 생리, 생태적 특성과 성숙한 상태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5개의 수집종에 대해 1993년부터 '95년까지 충남농촌진흥원 특작포장에 재배하고 성숙된 지모의 각 부위별 Sarsasapogenin 함량을 T.L.C plate 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개 수집종 중 주로 종실(種實)형을 나타낸 것은 공주, 청양 수집종이고 영양번식(營養繁殖)형은 금산, 연기, 유성종에서 주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실(種實)형이 비종실형보다 생육(生育) 및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이 양호하였다. 2. BuOH에 엑스를 산(酸)으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한 후 T.L.C 용매(溶媒) 전개조건(展開條件)인 CHCl3 : MEK : EtOH의 비율을 11 : 2 : 0.5로 하여 sarsasapogenin 분리(分離)가 가능하였고 Dual wave length T.L.C scanner로 정량(定量)이 가능(可能)하였다. 3. 주근(主根)과 세근(細根)의 sarsasapogenin의 량(量)은 각각(各各) 1.67mg/10g, 1.31mg/10g으로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의 량(量)이 주근(主根)보다 1.1배(倍)로 높게 나타나 세근(細根)에 sarsasapogenin 계통(系統)의 물질(物質)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상부(地上部)의 sarsasapogenin 함량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