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춘천지역의 참취 및 삼지구엽초의 자생지 식생 및 환경특성 KCI 등재

Vegetation and Environment in Natural Habitats of Aster scaber and Epimedium koreanum around Chunch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2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유용자원식물의 자생지 재배기술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저 참취와 삼지구엽초의 자생지 식생 및 환경(생태 및 토양화학성분)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취자생지인 춘천 A. 연엽산 A 그리고 연엽산 B에서의 종수는 20, 26, 25종이었고 삼지구엽초 자생지인 춘천 B, 북방면 그리고 대룡산에서는 15, 32, 26종이었다. 참취 자생지의 우점종은 춘천 A, 연엽산 A, 연엽산 B에서 맑은대쑥, 애기나리, 실새풀 등이었으며 삼지구엽초의 자생지인 춘천 B, 북방면, 대룡산에서는 고사리, 맑은대쑥, 애기나리 등이 우점하였다. 2. 자생지의 토양산도는 4.5-5.3 범위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1.59(춘천A)~5.5(연엽산 B)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 및 질산태 질소함량은 참취 자생지와 삼지구엽초 자생지 토양에서 평균 각각 0.0043mg/kg, 0.0025mg/kg이었다. 3. 자생지 토양의 NH4-N의 성분은 참취의 자생지의 토양성분이 삼지구엽초의 자생지 토양성분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밖의 성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Vegetation and environment in natural habitats of Aster scaber and Epimedium koreanum around Chunchon was studied to eatablish agroforestry technology for high quality production of wild vegetable. The number of species within the quadrat in natural habitat of Aster scaber was respectively 20, 26, and 25 in Chunchon A, Mt. Yeonyup A, and Mt. Yeonyup B. The number of species within the quadrat in natural habitat of Epimedium koreanum was respectively 15, 32, and 26 in Chunchon B, Bukbangmyon, and Mt. Taeryong. The dominant species in habitat of Aster scaber was respectively Artemisia keiskeana, Disporun smilacinum, and Calamagrostis arundinacea in Chunchon A, Mt. Yeonyup A, and My. Yeonyup B while that in habitat of Epimedium koreanum was respectively Pteridium aquilinum. Artemisia keiskeana, and Disporun smilacinum in Chunchon B, Bukbangmyon, and Mt. Taeryong. Soil pH in habitats of Aster scaber and Epimedium koreanum ranged from 4.5 to 5.3.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in habitat soil ranged from 1.5% in Chunchon A to 5.5% in Mt. Yeonyup B. The contents of ammonia-nitrogen and nitrate-nitrogen in soil were respectively 0.0043 mg/kg in habitat of Aster scaber and 0.0025mg/kg in habitat of Epimedium koreanum.

저자
  • 박병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