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산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의 열매 형태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KCI 등재

Taxonomic study on the achene morphology of Korean Aster L. and its allied tax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38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광의의 한국산 개미취속의 16종류에 대하여 열매인 수과의 분류학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과의 형태는 도피침상 장타원형, 도란형, 장타원형, 도란상 장타원형 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수과에 존재하는 모용은 단열성 원추형, 사상형, 원주형, 두상형, 장축 두상형, 구형의 6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들의 수과 선단에서 분포양상은 무모형, 원추상 모용 소생형, 원추상 모용 밀집형, 원추상-두상 모용 혼생형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수과의 형태와 이에 존재하는 모용의 특징은 분류군내의 개체간에는 변이가 없으나 분류군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여 종을 구분하는 좋은 형질로 여겨졌다. 특히 두상형의 모용의 존재여부와 수과선단의 두상형의 모용과 원추형의 모용이 혼생하는 형질은 광의의 Aster속을 Kalimeris, Heteropappus, Aster, Gymnaster속으로 세분할 때, Kalimeris속과 Heteropappus속 및 Aster속의 Pseudocalimeris절을 구분짓는 형질, 즉 절 이상을 구분하는 형질로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achene morphology about 16 taxa of Korean Aster L. sensu lato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its taxonomic values. The achene shape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oblanceolate-oblong, obovate, oblong and obovate-oblong. The trichome shape on achene six types; uniseriate-conical, filiform, cylindrical, capitate type, long stalk capitate and globular. Their distributional features on upper part of achene four types; absent, sparse distribution of conical trichome, dense distribution of conical trichome and mixed distribution of conical and capitate trichome. The achene shapes and trichome characteristics were regarded to be a good characters in delimiting taxa because these did not differ among individuals in same taxa, but differ among the taxa. If Korean Aster L. sensu late were divided into Kalimeris, Heteropappus, Aster, Cymnaster, the capitate forms and mixed distribution of conical and capitate trichome were recognized as the good characters in delimting above section such as genus Kalimeris and Heteropappus, section Pseudocalimeris of Aster L. sensu stricto.

저자
  • 정규영
  • 정형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