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참當歸(Angelica gigas NAKAI 지방종의 交雜親和性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Flowering Habit and Cross-Fertility of some local cultivars in Angelica gigas NAKA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4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참당귀의 개화습성과 수정양상을 조사하고 5개 지방종에 대하여 교잡에 의한 계통간 화합성 및 결실율을 검토함으로서 우량계통육성을 위한 교잡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 정식 2년차에 있었서 5개 지방종의 출아기는 3월 14일이었고 추대기는 5월 12~13일이었으며 개화기는 ‘봉화종’이 8월 2일로서 다른 계통보다 3~5일 빨랐고, 개화지속기간은 각각 41~43일로 비슷하였다. 2. 5개 지방종의 개화특성을 보면 주경에서 1차 지경, 1차 지경에서 2차 지경까지의 개화기간은 9~13일이 소요되었고, 웅예와 자예의 출현기 간은 각각 3~5일이었으나 동일화서 내에서 최종웅예와 최초자예의 간격은 1~4일이었으며 동일화에서는 웅예가 자예보다 4~8일정 도 선숙이었다. 3. 참당귀의 개화 시기별 밀봉에 따른 결실율은 개화 5일전, 개화 1~2일전, 개화기가 1.0, 0.9, 0.4%였으나 개화후 3일이 2.4%로 약간 높았고, 봉지를씌우지 않은 처리구는 52%였다. 지방종간 수분형태에 따른 결실율은 자가수분이 26.3%였고 타가수분은 36.3%로 타가수분이 높았으며 모본에 따른 결실율은 ‘봉화종’, ‘무주종’을 모본으로 하였을 때 각각 44.9, 42.6%로 높았다. 4. 각 계통별 정역교잡에 따른 인공수분에서는 자가수분 타가수분 모두 친화성이 있었으며 자가수분에서는 ‘무주’× ‘무주’조합이 40.8%로 가장 높았고 타가수분에서는 ‘평창’× ‘인제’조합에서 67%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cross breeding for developing bolting resistant variety of Angelica gigas NAKAI which has been subjected to severe yield reduction resulted from flower-stalk initiation during the growth. Compatibility of selfing and/or crossing pollination among 5 local cultivars were tested.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ase of three year old plant, all cultivars emerged March 14 and bolted from May 12 to May 13. Ponghwa cultivar was flowered 3 to 5 days earlier than other cultivars. Flower duration continued 41 to 43 days. Interval of flowering date from main stem to first primary branch, from first to second or second to third primary branch was 9 to 13 days. Emergency of stamen proceeded 4~8 days of pistil initiation demonstrating that Angelica gigas NAKAI is protandrous plant. Furthermore initiation of first pistil was 1~4days later than formation of last stamen in the same flower cluster. Percent pollin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was 52% under natural condition, so called open-pollination, but bagging by enveloping flowers was as low as 0.4~2.4%. In the result of compatibility test, all local cultivars tend to show both of self-and cross-compatibility. Inpollination, ‘Muju’בMuju’combination showed highest fertility up to 40.8% whereases cross pollination, ‘Pyeongchang’בInje’combination, showed 67.0% fertility.

저자
  • 권오흔
  • 김수용
  • 임재하
  • 오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