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주도 개민들레군락군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 in Jeju Is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4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의 개민들레군락군(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에 대하여 식물 사회학적 방법으로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조사지역에서 출현하는 관속식물상은 47과 136속 171종 22변종 1품종 (귀화식 물 16과 47속 64종 3변종 포함)이 확인되었다. 2 제주도에 분포하는 개민들레(Hypochoeris radicata)군락군은 식생학적으로 기 보고된 표징종에 의해서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갯강아지 풀 - 갯 잔디 군락(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s -Zoysia sinica community)으로 대별되었다. 3. 개민들레는 해안에서 해발 1,700m 윗세 오름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4. 개민들레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120m 서귀포시 서흥동 근처이며 , 가장 낮은 곳은 해발 2m인 남제주 성산리 해안지역이다. 5. 금번조사 중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벼과의 고사리새(Catapodium rigidium)가 발견되었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actual vegetation by us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on 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 in Jeju-Island. 1. Tracheophyte belonged to the flora species is composed of 194 taxa which comprise 47 families,136 genera, 171 species, 22 varieties and 1 forma (Naturally plants 16 families, 47 genera, 67 taxa, including 64 species, 3 varieties). 2. According to the character species, the Hypochoeris radicata community group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s -Zoysia sinica community, distributed species. 3. This species is distributed from the shore to 1,700m the sea, on Jeju Island. 4. In terms of dominance and sociability of Hypochoeris radicata, the Seohong-dong, Seogwipo city site ranked highest site and the Seongsan-ri, Namjeju-gun site ranked lowest. 5. Catapodium rigidium which is belonged Gramineae was for the Hirst time found in JeJu.

저자
  • 양영환
  • 김문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