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라산 황칠나무 집단의 구조 및 생육동태 KCI 등재

Population Structure and Growth Dynamic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Araliaceae) in Mt. Hal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5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천연도료 황칠자원을 보전하고 육성하기 위한 육종계획의 일환으로 한라산 황칠나무 천연집단의 식생구조, 공간분포 및 생육동태 등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중요치(Ⅳ)가 높은 수종은 구실잣밤나무, 서어나무, 황칠나무, 종가시나무, 가시나무, 동백나무, 당단풍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 모든 조사구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수종은 구실잣밤나무와 서어나무 2종이었다. 층위별 황칠나무의 적산중요치는 상층에서 17.2%, 중층 12.9%, 하층 10.3%로 비교적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분포형은 상층, 중층, 하층에서 확률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칠나무 임분은 낙엽활엽수인 서어나무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에서 종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으로 진행되는 천이단계에 있었으며, 황칠나무는 이들 임분에서 주로 상층의 아우점종이거나 중층의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Morisita's index를 통한 공간분포는 치수(seedling)와 어린개체 (sapling)들은 대체로 모수로서 추정되는 성숙목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집중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성숙목(Mature tree)은 규칙 분포하는 양상이었다. 결론적으로, 황칠나무는 다른 상록활엽 수들과 동반하여 집단 확산이 일어나며 , 집단의 확산을 위한 치수의 발생과 생장에 있어서 주변의 임분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체군의 동태를 예측한 결과, 낮은 직경급의 밀도가 높고 높은 직경 급의 밀도가 낮은 전형적인 역J자형 분포를 보였다.

Dendropanax morbifera Lev.(Araliaceae), Korean endemic and evergreen small tree is a component of evergreen forest and mainly distributed in sourthern region and islands in Korea.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4 natural stands of D. morbifera.(Sundol, Suak, Hannam, and Sangho populations in Cheju island) were studied. In most of the D. morbifera natural stands, the following tree species appeared predominantl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arpinus laxiflora, D. morbifera, Quercus glauca, Quercus myrsinaefolia, Camellia japon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Two tree species, such as C. cuspidata var. sieboldii and C. laxiflora appeared in the all investigated stands. D. morbifera occupied 17.2% of the upper story, 12.9% of the middle story, and 10.3% of the lower story,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patterns by Morisita' s Index showed that D. morbifera was distributed randomly in the three stories.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DBH D. morbifera species showed reverse J-shaped, therefore it seems to remain as a dominant species.

저자
  • 김세현
  • 정헌관
  • 장용석
  • 김선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