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은방울꽃 개체군의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onvallaria keiskei Popul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7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자연 군락으로 자라고 있는 은방울꽃 개체군의 개체 내 각 기관들간의 상호관계, 생식기관의 변화, 종자의 생산량과 개체의 크기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귀여 2리에서 2002년 4월부터 8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하나는 생식기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영구 방형구를 설치하였고, 다른 하나는 각 기관들의 상관관계와 종자생산의 에너지 분배를 파악하기 위해 채취한 시료를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은방울꽂 개체군의 특성에서 영구 방형구 내 개화하는 개체의 잎 장수는 평균 2장이었고, 나중에 나온 잎의 크기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체 당 평균 7.9개의 꽃을 피우며, 나중에는 평균 5.4개의 열매를 맺고, 평균 16.1개의 종자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잎의 크기, 지하부의 크기 및 생식기관의 각 속성들간에는 1% 및 5%내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은방울꽂의 개화 시기는 4월 26일부터 5월 11일까지였으며, 이로부터 추정한 개화지속기간은 대략 8~9일이었다. 5월초에 개화한 개체 중 80%가 5월말에 열매로 남았고, 8월말에는 68%가 열매로 남아있었다. 넷째, 생산된 종자의 건중량은 총엽면적보다 지하부의 건중량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 size and seed production, change of sexual organs, relationship between each organs of Convallaria keiskei population, which is located in Gwiyeo-2-ri, Namjong-myeon, Gwangju-si, Gyeonggi-do these were studied from April to August 200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wo ways. One way was to set up the permanent quadrat to explain the change of sexual organs. The other was to carry the collected sample to the laboratory and analysis it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rgans and energy division of seed production. In the Convallaria keiskei population, the average number of leaf which blooming shoot in the permanent quadrat was 2 and I could find the late leaf size was larger. It was found that, per shoot, the average number of flower was 7.9, fruit was 5.4 and seed was 16.1. Each properties in the sexual organ, underground part size and leaf size, had correlation of 1% or within 5%. The flowering time of the Convallaria keiskei was from April 26 to May 11. Therefore,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blooming period was 8~9 days in just one flower. Among that flowers bloom at the beginning May, 80% fruit at the end of May, and 68% fruit at the end of August. The dry weight of seed had more correlation dry weight of underground part than leaf area.

저자
  • 이세라 | Lee, S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