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칠채취의 기계화작업 가능성에 대한 옻채취 시험분석 KCI 등재

Experiment on Mechanization Possibility for Collection of Korean Rhus Lacquer by Heating Rhus verniciflu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83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과거부터 전해져 내려온 전통방식의 옻채취방법인 화칠법을 기계적 방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방법과 기계적 방법으로 화칠채취공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옻나무의 중량단위당 나무개수에 따른 화칠채취공정에서 기계식이 재래식에 비해 약 45% 옻액을 더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옻나무의 단위 중량당 화칠채취의 소요시간은 나무개수가 많을 수록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으나 기계식이 재래식 보다 시간이 좀 더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작업을 계속할 경우에 재래식은 줄기에 홈을 낼 때 육체적 힘을 많이 소비하므로 오랜 시간 작업을 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understand a possibility for the techniques of collecting the Korean Rhus lacquer by the traditional method(Hwachil) against the diminishing lacquer industry. Hwachil method, making use of fire to collect lacquer, is practiced at only some areas, but the lacquer is very efficacious for foods and oriental medicine. A comparative experiment between traditional method and new machine method by processing unit 5 kg of lacquer tree was made to improve Hwachil method technic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chine method produced more about 45% of lacquer than the traditional one. The traditional method, moreover, needed intense labour quality and high leveled techniques, which caused to bring physical sufferings.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method for the collecting time required, the machine one showed to take more than minutes per a unit. But the machine method was easy and convenient to handle the machine without special techniques.

저자
  • 송병민 | Song, Byong-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