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SSR 표지자에 의한 동강할미꽃(Pulsatilla tongkangensis)의 유전다양성과 구조 KCI 등재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Pulsatilla tongkangensis as inferred from ISSR ma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9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ISSR 표지자를 이용하여 동강할미꽃 3개 지역, 5개 집단, 총 177 개체로부터 유전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6개 ISSR primer의 56개 표지자에서의 종 수준에서의 유전다양성은 P=94.6, SI=0.377, h=0.240로, 제한된 분포와 작은 집단크기를 고려할 때 상당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AMOVA 분석 결과 전체 유전변이의 약 12%가 지역 간에, 약 13%가 지역 내 집단 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 및 집단에 따른 분화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인근집단 간에 유전자 교류가 비교적 원활히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동강할미꽂 집단 간 분화정도는 주로 지리적 거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집분석과 주좌표분석을 통해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크기가 작고 고립된 삼척집단(SC)에서는 많은 유전자좌에서의 표지자 밴드의 빈도가 현저히 다르거나 다른 방향으로 고정되어 유전적 부동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동강할미꽃의 집단크기가 계속 감소하면 유전다양성이 심각하게 훼손될 뿐만 아니라 집단 전체의 절멸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동강할미꽃의 보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유의 서식처 환경을 보호하여 집단크기가 감소하거나 집단 간의 연결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지에서의 종자산포나 이식 등의 보전 조치는 생태적, 유전적 특성을 고려하여 신중히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집단의 유전적 구조 변화 등에 관한 기초연구와 함께 동강할미꽃의 효율적 보전을 위한 통합적인 체계 구축이 시급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The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P. tongkangensis in 5 populations from 3 regions was investigated using 56 markers derived from 6 ISSR primers. Genetic diversity at the species level (P=94.6, SI=0.377, h=0.240) was substantial considering the limited distribution and small size of populations. Genetic differentiation among regions (12%) and among populations (13%) in the region was not clearly evident, which suggested a moderate level of gene flow among adjacent populations. The Mantel test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etic differentiation (ΦST) and geographic distance among populations. This was supported by cluster analysis and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PCoA).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ker band frequency at many loci and their fixation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smallest and most isolated population SC were considered due to genetic drift. Therefore, the genetic diversity of P. tongkangensis could be compromised if the distribution area or the size of the population was further reduced. In particular, small and isolated populations could be at great risk of extinction. Considering this, the unique habitats of P. tongkangensis should be protected and the reduction of population size should be closely monitored. Conservation efforts including the seeding and planting of seedlings should be done carefully based on their genetic and ecological traits. Our data support the argument that establishing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the efficient conservation of P. tongkangensis is critical.

저자
  • 김진수 | Kim, Zin-Suh
  • 조동광 | Jo, Dong-Gwang
  • 정지희 | Jeong, Ji-Hee
  • 김영희 | Kim, Young-Hee
  • 유기억 | Yoo, Ki-Oug
  • 천경식 | Cheon, Kyoung-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