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효율적 조직배양체계 확립을 위한 카네이션 품종 선발 및 배양조건 설정 KCI 등재

Selection of Suitable Varieties of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L.)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Efficient Tissue 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902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분자육종의 발전에 따라 좀 더 유용한 형질전환 식물체를 더 많이 얻어내기 위한 많은 형질전환 기술들이 개발되어오고 있으나 새로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새로운 품종들이 실시간으로 새롭게 개발되고 있으며 개발된 품종에 적합한 새로운 형질전환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 또한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카네이션(Dianthus caryophyllus L.)은 전 세계적인 주요 화훼작물 중 하나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작물이다. 따라서 기술개발의 파급효과가 큰 카네이션을 대상으로 조직배양 및 형질전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장에서 주요하게 거래되고 있는 주요 품종 18종을 수집하고 이 중 조직배양을 통한 신초 분화 능력이 우수한 4개 품종 Yellow dotcom, Jakarta, Belmonte, Polar tessino 등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4개 품종에 공통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생장조절제는 MS+Sucrose 3%+NAA 1.0 mg/L+TDZ 1.0 mg/L.이었으며 MS+Sucrose 3%+NAA 3.0 mg/L+BA 1.0 mg/L 처리는 Belmonte.에 적용 가능한 생장조절제 조합이었다. 캘러스 형성과 신초 분화에 가장 효율적인 기본 배지는 MS이었으며 탄소원으로는 Sucrose를 3%로, Phytagel 0.3%를 배지 경화제로 처리하는 것이 조직배양을 통한 재분화 식물체 획득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가장 효율적 조직배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조직배양 부위는 줄기 부위 이었으며 이 부위를 배양재료로 사용할 경우 신초 생성율을 80.2%까지 올릴 수 있었고 배양소요 기간도 6일 정도 단축할 수 있었다.

As the molecular breeding was progressed, many plant transformation techniques were attained for improving transformation accuracy and used to produce useful transgenic plants. Day by day, new varieties were developed so new transformation techniques required for these newly developed varieties.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L.) is a popular and economically important ornamental plant, all over the world. Keeping this in view, we selected 18 varieties of D. caryophyllus L. commonly available in the market and di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more efficient tissue culture and to get higher number of plants via micro-propagation. Four varieties namely Yellowdotcom, Jakarta, Belmonte, Polartessino etc. were selected for organ culture studies from single cell line. The optimum growth was recorded in the MS media supplied with sucrose 3%, NAA 1.0 mg/L and TDZ 1.0 mg/L. except Belmonte, in which, BA 1.0 mg/L was found to be the best combination, in place of TDZ, rest ingredients were same. The most efficient coagulating agent used to obtain higher number of plant from callus was phytagel 0.3%. The most effective explant for higher shoot formation was stem in which 80.2% shoot formation was recorded. It also reduced culture periods by 6 days.

저자
  • 강찬호 | Kang, Chan-Ho
  • 한범수 | Han, Bum-So
  • 한수곤 | Han, So-Gon
  • 권성환 | Kown, Sung-Hwan
  • 송영주 | Song, Young-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