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종에 따른 배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Korean Pear Spec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90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 많이 재배하는 배나무속(Pyrus)의 신고배(P. pyrifolia var. culta)와 한국산 야생배 5종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배나무(P. pyrifolia), 취앙네(P. ussuriensis var. acidula), 백운배나무(P. ussuriensis var. hakunensis), 문배나무(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무심이배(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등 5종류의 한국산 야생배와 신고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신고배(76.8 mg·g-1, D.W.),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취앙네(1.12 mg·g-1, D.W.)에서 가장 많았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기 달랐으나, P. pyrifiolia 계통에서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보다 많고, P. ussuriensis 계통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총 폴리페놀의 함량 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문배나무(RC50=1.45 mg·mL-1),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취앙네(RC50=0.69 mg·mL-1)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신고배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DPPH와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장 낮았으며, 문배나무의 과실은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낮았으나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특징을 보였다. Fe2+ chelating은 radical 소거능이 낮았던 신고배(95.93%)와 무심이배(68.71%)에서 우수하였다. 따라서 야생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radical 소거활성과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며, 추출물의 radical 소거활성 또한 Fe2+ chelating 활성과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한국산 야생배 중 취앙네, 문배나무, 무심이 배의 과실은 신고배보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기능성 천연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각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다르므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함께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In this studies, contents and activitie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the fruits of a pear cultivar and five Korean wild pear lines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highest with Pyrus pyrifolia var. culta "Shingo" (7.68 mg·g-1, D.W.) while total flavonoids was highest with P. ussuriensis var. acidula (5.66 mg·g-1, D.W.).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varied according to plant species, but in general pyrifolia lines had higher total polyphenols than total flavonoids whereas in ussuriensis lines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r than total polyphenols. The scavenging effects of DDPH radicals was highest with highest with P. ussuriensis var. seoulensis (RC50=1.45 mg·mL-1) and that of ABTS radicals was highest with P. ussuriensis var. acidula (RC50=0.69 mg·mL-1). A pear cultivar "Shingo" showed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but scavenging activity of DDPH and ABTS radicals was lowest. The fruits of P. ussuriensis var. seoulensis contained low level of phenolic compounds, but their scavenging effects on two radicals was superior.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as high in P. pyrifolia var. culta (98.93%), and in P. ussuriensis var. sinensis (68.71%), but two species had low scavenging activity.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wild pears was not alway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eit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o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In conclusion the fruits of P. ussuriensis var. acidula, P. ussuriensis var. seoulensis, and P. ussuriensis var. sinensis had grea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oxidative functional food because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is higher or at least similar to P. pyrifolia var. culta. However, due to their different levels of antioxidative effects, the development of methods of using them jointly, not singly, to obtain maximum level of antioxidants is recommended.

저자
  • 이철희 | Lee, Cheol-Hee
  • 신소림 | Shin, So-Lim
  • 김나래 | Kim, Na-Rae
  • 황주광 | Hwang, Ju-K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