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xplore and catalog Korean astronomical heritages that are known to be preserved in foreign countries. We exclude old astronomical books from the catalog because they have been well studied and exist in numbers far too large for the scope of this study. From various documents and online collections, we find a total of 38 Korean astronomical heritages in six countries: 10, 11, and 14 items from the UK, France, and Japan, respectively, and 1 item from Germany, the US, and China each. These include items that are suspected to be of Chinese heritage and items of unconfirmed possession status. We divide the astronomical heritages primarily into two groups: time-keeping instruments (18 items) and astronomical charts (20 items). In this paper, we briefly review them according to country. We believe that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further detailed studies on each item, such as the Gujang-Cheonsang-Yeolcha-Bunya-Jido (舊藏天象列次分野之圖) preserv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United States.
        4,600원
        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광지 및 공공공간에서의 사인 시스템은 대상지에서의 즉각적이고 명확한 정보 안내는 물론 현장에서의 다양한 이용자 계층을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 한국전통문화 관광지의 하나인 한국민속촌을 대상으로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5가지 조성원칙에 입각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인시스템에 대한 문헌분석, 한국민속촌 사인시스템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실제 이용자 150명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조성원칙이 전반적인 사인 이용 만족도와 어떤 상관성을 갖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체성, 통일성, 가독성, 내구성, 위치의 적합성 등 사인시스템의 5가지 주요 원칙들과 사인의 이용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민속촌의 경우 통일성과 가독성이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내구성과 위치의 적합성은 사인의 이용만족도와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5개의 주요 요소들간에는 정체성과 통일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일성과 가독성, 정체성과 위치의 적합성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000원
        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odor characteristics of single odor and collective odor facilities using the German olfactory odor method and carried out the odor frequency modeling. The influence of the odor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which is a single discharge facility, was strong in the east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plant and appeare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reas where the odor complaints were frequent. The German olfactory method reflects the odor complaints and odor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the receptors as compared with the domestic odor measurement method. The influence of the odor from the odor control area, which is a collecting and discharging facility, showed a tendency in which the sum of the odor occurrence frequency increased with the proximity of the odor discharge facility to the dense industrial complex. Furthermore, it was judged that it is not easy to extract the odor frequency results for individual facilities because the survey subject is the group discharge facility area.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introduce a method to manage odor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of odor frequency using the German olfactory odor method is partially applied to some odor sources. Appropriately, it is not applicable to various emission sources. However, the odor measurement method based on odor occurrence frequency and odor sensory can be used for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 permits of odor discharge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al review.
        4,300원
        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Kalopanacis Cortex (海桐皮) is listed in「The Korea Pharmacopoeia (KP)」as the original plant of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However, the dried cortex of Erythrina eariegata L (刺桐) is an adulterant, one of the most indiscriminately used herbal medicines because of its similar morphologic. Due to the morphological similarities of the dried cortex of this plant to those of K. septemlobus which is used as a substitute herbal for E. eariegata, distinguish these two species is extremely difficult. Meanwhile, K. septemlobus is a polymorphic species,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great diversity due to the different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is reason, it is conduct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o distinguishing these K. septemlobus with E. eariegata by using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identify origin of K. septemlobus, E. eariegata was analyzed from four barcode regions of chloroplast DNA (psbA-trnH, rbcL, matK, atpH-atpF)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to evaluate the ability of discrimination for each barcode reg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ITS2 (2.3%) followed by rbcL (8.2%), in oder to develop a species-specific primer that can distinguish K. septemlobus form E. eariegata. Conclusion : The INDEL marke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ivergence of each sequence, and it is possible now to identify the two species of K. septemlobus with just a single performance of PCR. This will not only prevent misused of the plant, but also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herbal medicine as well as to verify and guarantee safety for public health.
        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In the KHP (the Korea Herbal Pharmacopoeia), the Cuscutae Semen (菟絲子) is defined as the seed of the Cuscuta chinensis Lamark (family: Convolvulaceae). Using authentic raw herbal materials is fundamental to herbal medicine quality and Cuscutae Semen is widely distributed in many asian countries. Due to having tiny bodies of seed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m from adulterants and closely related species by morphologic characteristics, leading to serious safety problems. For this reason, there was conduct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o distinguishing these Cuscuta chinensis with Cuscuta japonica and Cuscuta pentagona by using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 and Results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clearly and efficient method to identify Cuscutae Semen on the market. These samples (C. chinensis, C. japonica and C. pentagona) were analyzed from two barcode regions of chloroplast DNA (rbcL, psbA-trnH)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Based on genetic distance, the pre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psbA-trnH value (38.7%), followed by ITS2 (23.4%), rbcL (9.9%), in order to develop a specific primer that can distinguish C. chinensis, C. japonica and C. pentagona.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DNA barcoding was proved to be a successful tool for authentication the three species of Cuscutae semen. The adoption of DNA barcoding as an authentication tool by food safety agencies can safeguard the interests of both consumers and traders.
        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urcumae Longae Rhizoma (薑黃) is listed in「The Korea Pharmacopoeia (K P)」as the original plant of Curcuma longa L (Zingiberaceae). Meanwhile, Zeodariae Rhizoma (莪朮) is listed in 「The Korea Pharmacopoeia (KP)」as the original plant of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 (Zingiberaceae). Due to the morphological similarities of the dried roots of this plant to those of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s which is used as a substitute herbal for C.longa, distinguish these four species is extremely difficult. Methods and Results : A total of 90 collected samples were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of Curcumae Longae Rhizoma and Zeodariae Rhizoma were analysis based on sequence of the chloroplast DNA (trnK, rbcL, trnL-F, atpB-rbcL)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per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trnK (2.3%), in oder to develop a species-specific primer that can distinguish C.longa form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s. In addition,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of C. longa were sequenced by a 454 sequencing platform, and the structure of the obtained chloroplast genome was also analyzed. the result used that INDEL (insertion/deletion) marker for distinguish C.longa form C. phaeocaulis, C. aromatica and C. Kwangsiensis. Conclusion : The INDEL marke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ivergence of each sequence, and it is possible now to identify the four species of Curcumae Longae Rhizoma with just a single performance of PCR. This will not only prevent misused of the plant, but also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herbal medicine as well as to verify and guarantee safety for public health.
        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hrysanthemi Indici Flos (甘菊) is listed in 「The Korea Herbal Pharmacopoeia (KHP)」as the original plant of Chrysanthemum indicum L. C. indicum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medicinal plants in Asteraceae, Dried flowers of this plant have been valid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flavonoids, phenylpropanoids, terpenoids, and polysaccharides, possessing broad spectrum antibacterial, antiviral, antihypertensive and anti-oxidation functions. Meanwhile, C. indicum was a polymorphic species,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great diversity due to the different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this reason, there was conducted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to distinguishing these C. indicum with C. morifolium,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Aster spathulifolius by using 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ods and Results : In this study, In order to clearly identify origin of Chrysanthemi Indici Flos, these samples (C. indicum, C. morifolium,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A. spathulifolius) were analyzed from five barcoding regions of chloroplast DNA (rbcL, matK, rpoB, atpF-atpH) and nuclear ribosomal DNA (ITS2) to evaluate the ability of discrimination for each barcoding region. Based on genetic distance, the percent of variable sites were provided the highest ITS2 value (56.9%), followed by atpF-atpH (48.18%), matK (27.2%), psbK (8.2%), and rbcL (2.9%).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petL-petG region INDEL (insertion/deletion) that the gene annotations were registered to the GenBank (accession number: JN-867592.1, NC-020092.1, MF-034027.1, NF-279514.1).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the petL-petG region INDE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molecular authentication of four plants (C. indicum, C. morifolium, C. zawadskii var. latilobum and A. spathulifolius). The findings of results indicated that petL-petG region might be established INDEL analysis systems and hence were proved to be an effective tools for molecular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Chrysanthemi Indici Flos” with other plants.
        8.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생 양치식물 9종의 성엽과 근경을 재료로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분석하여 천연 α-glucosidase 저해제로서 개발 가능한 식물 소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수확된 성엽과 근경은 수세 후 동결건조 하였으며, 건조시료를 분쇄하여 100% 메탄올 용매로 30분 동안 초음파 추출을 하였고, 추출 후 감압여과 하여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구로는 acarbose를 사용하였다. 추출물 50μL에 0.7 unit α-glucosidase 효소액 100μL를 넣고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5 mM σ-NPG 기질용액을 50μL 넣고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1 M Na2CO3 1 mL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0.7 unit α-glucosidase 용액의 활성을 50%를 억제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IC50 값)를 구하였다. 양치식물 9종의 α-glucosidase 억제활성은 성엽(IC50=14.00~913.33μg·mL-1)과 근경 추출물(IC50=12.93~205.84μg·mL-1)에서 공히 acarbose(IC50=1413.70μg·mL-1)에 비해 높았다. 양치식물의 추출물은 acarbose에 비해 성엽은 1.55~100.98배, 근경은 6.87~109.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엽에서는 석위의 억제활성이, 근경에서는 꿩고비의 α-glucosidase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 활성의 50%를 억제하기 위한 성엽과 근경의 필요 생체량은 공히 꿩고비(각 0.35, 0.27 mg)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엽의 경우는 석위의 IC50 값이 가장 높았으나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이 꿩고비에 비해 2.4배 낮아, 오히려 꿩고비의 경제성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꿩고비는 적은 생체량으로도 높은 α-glucosidase 억제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경제적인 천연 α-glucosidase 저해제 소재로써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9.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lect adequate plant materials for developing a natural α-glucosidase inhibitor by analyzing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in fronds and rhizomes of three Dryopteridaceae species: Cyrtomium fortunei, Polystichum polyblepharum, and P. lepidocaulon. The highest α-glucosidase inhibitor obtained from frond of P. lepidocaulon (4.16μg·mL-1), and rhizome of C. fortunei (1.84μg·mL-1), showed much higher inhibition activity than acarbose (1413.70μg·mL-1). The biomass required to inhibit α-glucosidase by 50% was 0.04 ~ 0.35mg for frond and 0.03 ~ 0.10mg for rhizome, and P. lepidocaulon required the least amount of fronds and P. lepidocaulon the least rhizomes. In fro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was the highest in water fraction of C. fortunei (20.2μg·mL-1), and n-butanol fraction of P. lepidocaulon (9.33μg·mL-1) and P. polyblepharum (5.10μg·mL-1). In rhizome, it was the highest in n-butanol fractions of C. fortunei (19.76μg·mL-1) and P. polyblepharum (4.47μg·mL-1), and ethylacetate fraction of P. lepidocaulon (5.46μg·mL-1). The frond biomass required for 50% α-glucosidase inhibition was the lowest in the water fraction of C. fortunei (1.43mg), and n-butanol fractions of P. lepidocaulon (1.10mg) and P. polyblepharum (0.66mg). The required biomass of rhizome was the lowest in the water fraction of C. fortunei (1.59mg), and n-hexane fractions of P. lepidocaulon (0.04mg) and P. polyblepharum (0.15mg).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hree Dryopteridaceae species had high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with small biomass, which might have high value as materials for economical anti-diabetic medication.
        10.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면마과에 속한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참지네고사리(Dryopteris nipponensis) 및 더부살이고사리(Polystichum lepidocaulon)의 성엽을 용매별로 분획 추출한 다음 각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여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관중의 n-butanol 분획물(550.0 mg·g-1), 참지네고사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374.8 mg·g-1),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781.8 mg·g-1)에서 가장 많았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관중의 chloroform 분획물(72.9 mg·g-1), 참지네고사리와 더부살이고사리의 n-hexane 분획물에서 각 72.9, 154.5 mg·g-1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많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관중과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RC50=0.02와 0.04 mg·mL-1)과 참지네고사리의 water 분획물(RC50=0.01mg·mL-1)에서 가장 높았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관중의 n-hexane과 n-butanol 분획물(각 RC50=0.02mg·mL-1), 참지네고사리의 ethyl acetate 분획물(RC50=0.03mg·mL-1) 및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RC50=0.06mg·mL-1)에서 가장 높았다. 연구의 결과, 관중과 더부살이고사리의 n-butanol 분획물은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많으며 radical 소거활성이 높았으므로 각 분획층의 유용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1.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에서 많이 재배하는 배나무속(Pyrus)의 신고배(P. pyrifolia var. culta)와 한국산 야생배 5종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배나무(P. pyrifolia), 취앙네(P. ussuriensis var. acidula), 백운배나무(P. ussuriensis var. hakunensis), 문배나무(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무심이배(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등 5종류의 한국산 야생배와 신고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신고배(76.8 mg·g-1, D.W.),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취앙네(1.12 mg·g-1, D.W.)에서 가장 많았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기 달랐으나, P. pyrifiolia 계통에서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보다 많고, P. ussuriensis 계통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총 폴리페놀의 함량 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문배나무(RC50=1.45 mg·mL-1),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취앙네(RC50=0.69 mg·mL-1)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신고배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DPPH와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장 낮았으며, 문배나무의 과실은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낮았으나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특징을 보였다. Fe2+ chelating은 radical 소거능이 낮았던 신고배(95.93%)와 무심이배(68.71%)에서 우수하였다. 따라서 야생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radical 소거활성과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며, 추출물의 radical 소거활성 또한 Fe2+ chelating 활성과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한국산 야생배 중 취앙네, 문배나무, 무심이 배의 과실은 신고배보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기능성 천연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각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다르므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함께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2.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로운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고,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재배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황기, 석결명, 술패랭이꽃, 질경이 새싹채소의 재배 중 녹화기간에 따른 항산화효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종에 따라 광합성이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황기 새싹채소는 총 폴리페놀 함량은 녹화 0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녹화 0일, ABTS radical 소거능은 녹화 1일, Fe2+ chelating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석결명 새싹채소는 2일 녹화했을 때 항산화물질 함량이 높고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였으며, Fe2+ chelating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1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술패랭이 새싹채소는 녹화 3일 째에 항산화물질 함량이 높고, Fe2+ chelating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radical 소거능과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은 녹화시키지 않았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질경이 새싹채소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은 녹화 2일째에 가장 우수하였으며, Fe2+ chelating 효과는 녹화 0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 3일째에 가장 우수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물 종에 목표로 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광합성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식물 종과 원하는 항산화 효과에 따라 재배 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13.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엉 종자를 이용하여 항산화 기능성 새싹채소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엉 종자는 25℃ 명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왕성하였으며, 4일만에 82%가 발아하였다. 발아 종자를 암조건에서 재배한 결과, 20℃에서 길이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다. 녹화처리는 새싹의 길이생장을 억제하였으나, 자엽의 길이 및 부피생장을 촉진하였다. 수확 후 예냉하여 포장한 우엉 새싹채소는 4℃보다 10℃에서 저장할 때 저장 기간이 증가되었다. 포장용기의 통기구는 저장 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0, 1, 2, 3일 녹화처리한 새싹채소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우엉 새싹채소의 radical 소거능 및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시판중인 브로컬리, 적채, 완두의 새싹채소 및 콩나물보다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또한 우수하였으며, 특히 3일 녹화시킨 우엉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녹화처리가 길어질수록 우수하였다. 우엉 새싹채소는 우엉의 성체 잎줄기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우엉 새싹채소는 기능성 채소로써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