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산 중앙부두 주변해역의 교통흐름 및 통항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Traffic Stream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at the Adjacent Sea Area of Busan Central Whar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087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부산항 중앙부두 주변 해역은 각 선석별로 그 목적과 용도에 부합된 전용 부두가 배치되어 소형 잡종선을 비롯해서 중대형 여객선, 소형 쾌속선, 컨테이너선, 화물선, 작업선 등 다양한 선박이 특정한 항행 규칙이나 해상교통관계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통항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두 차례의 해상교통조사를 전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시한 후 중앙부두 주변 해역을 통항하는 선박들에 대한 선종별, 톤수별 통계처리와 항적분포를 기초로 중앙부두 인근 해상의 주요 통항로의 교통 흐름, 그리고 통항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통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중앙부두 주변 해상을 각 기능별로 분류하고, 북내항로 지정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항행 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박의 운항자 관점에서 입출항 통항 안전성에 바탕을 둔 효율적인 중앙부두 인근 부두의 재배치 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At the adjacent sea area of Busan Central Wharf, a variety of vessels, such as middle-large passenger ships, small hugh speed crafts, container ships, cargo ships and working boats as well as small miscellaneous vessels are freely sailing comparatively without special rules and marine traffic control.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raffic stream and navigational characteristics cf main traffic route based on statistics and distribution of tracks by ship's type and tonnage cf the passing vessels after conducting marine traffic survey twice using exclusive software. We examined the traffic safety of the passing vessels by classifying the sea area by each function based on the analysis about this traffic situation, and analyzing the effect by designating 'Inner passage'. We also studied the plan for the effective rearrangement cf Central Wharf considering basically the traffic safety of arrival and departure in a point of view of navigators.

저자
  • 김세원 | Kim, Se-Won
  • 이윤석 | Lee, Yun-Sok
  • 박영수 | Park, Young-Soo
  • 김종성 | Kim, Jong-Sung
  • 윤귀호 | Yun, Gwi-Ho
  • 김대희 | Kim, Dae-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