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종횡방향 압축하중을 받는 유공판의 최종강도 설계식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Ultimate Strength Design Formula considering Buckling under Longitudinal and Transverse Axial Compressive Loa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09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rch (한국항해항만학회지)
한국항해항만학회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초록

선체구조 부재에는 이중저의 거더 및 늑판 등에서 유공을 가진 판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는 중량 경감, 사람 및 화물의 이동, 배관 등의 목적으로, 보통은 강도상 큰 문제가 없는 부위에 위치하지만, 때로는 불가피하게 높은 응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설치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러한 판에 유공의 존재는 면내 하중에 의한 탄성좌굴강도 및 최종강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유공판의 탄성좌굴강도 및 최종강도 평가는 선박의 초기 구조설계단계에서 구조부재 치수를 결정할 때 검토해야 할 중요한 설계기준 중의 한가지 이다. 그러므로, 유공판에 대한 합리적인 신뢰적인 탄성좌굴강도 및 최종강도 평가가 필요시 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횡비와 유공비 그리고 세장비의 영향을 고려하여 탄소성 대변형 유한요소 시리즈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간단한 설계식을 도출하였다.

A number of perforated plates are utilized for the passage of the crew and the equipment, reducing weight and the arrangement of piping. Hull girders in double bottom and floor plates are the typical parts which have those plates in a ship structure, and the perforated plate is usually positioned at the place which has less loading without local strength problems. In the case of utilizing the plate inevitably at the place which has large strength, an opening of the plate has large effect on the buckling strength due to in-plane rigidity and ultimate strength. Therefore the assessments of the elastic buckling strength and the ultimate strength for the perforated plate are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determining the dimensions of the parts at the initial design stage. With above reason, a need of the reasonable assessments for the elastic buckling strength and the ultimate strength has evolved. The numerical series analysi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effect due to various aspect ratios and slenderness ratios were perform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in this research. Simple formulas for the design are also proposed from the above analysis.

저자
  • 박주신 | Park, Joo-Shin
  • 고재용 | Ko, Jae-Yong
  • 이준교 | Lee, Jun-K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