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한산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KCI 등재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9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북한산지역의 삼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식생상관 및 식생층별 nested quadrat method에 의하여 설치된 20개 조사구의 식생조사를 하였다. 교목상층의 우점종에 의한 삼림군집의 유형은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순림 또는 혼효림을 주로 하는 자연식생군집, 자연식생과 인공식생이 혼효하고 있는 반인공식생군집, 인공식생이 순림 또는 혼효림을 이루고 있는 인공식생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북한산지역 전체에 대한 면적구성비는 각각 82.64, 7.03, 5.71%이었다.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순림 또는 혼효림은 면적구성비가 전체면적의 70.8%로서 대표적인 식생이었다. 인공식생의 주수종은 아까시나무, 리기다소나무, 물오리나무 등이었으며 주로 토양침식이 비교적 심한 남사면과 도로 등 시가지와의 경계부에 식재되어 있었다. 녹지자연도 8, 7, 6의 면적구성비는 각각 82.6, 0, 12.7%이었다. 임분구조는 국소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상수리나무 장령림, 아까시나무림을 제외할 때 대체로 교목상층의 평균흉고직경, 임관고가 각각 20cm, l0m 이하로써 유령림상태이었다. 북한산지역의 대표적인 자연식생군집인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순림 또는 혼효림의 종다양도는 1.085~l.242의 범위를 보였다. 주요 수종의 직경분포에 의한 동태 분석 결과 기존 신갈나무군집과 아까시나무군집은 현재의 천이단계가 지속될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타군집의 경우 전반적으로 신갈나무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었고, 국소적으로 아까시나무가 침입하고 있는 군집과 갈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의 경우 각각 아까시나무군집, 갈참나무군집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ordination 방법중 DCA 방법이 본 연구에서는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DCA에 의해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층인 상층은 소나무→졸참나무, 산벚나무, 팔배나무→신갈나무, 들메나무, 물푸레나무의 순이었고, 중층은 산초, 참싸리→개옻나무, 옻나무, 생강나무, 진달래, 철쭉→당단풍, 함박꽃나무, 참빗살나무의 순이었다.

To investigate the forest structure of Mt. Bukhan. ranging from Seoul to Kyongkido, twenty plots were set up by the vegetation physiognomy and veget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leading dominant tree species in canopy stratum, fores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rge groups of natural forest communities, semi-natural forest communities and artificial forest communities, and each of them covered 82.64, 7.03, and 5.71% of Mt. Bukhan area, respectively. Pure or mixed natural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ere major forest communities and covered 70.8% of Mt. Bukhan area. The important planted tree species were Robinia pseudoacacia, Pinus rigida, and Alnus birsuta and they were mainly planted at the southern slope and roadside. The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of 8, 7, and 6 area covered 82.64, 0, and 12.74%, respectively. According to forest dimensions, most of forest communities were young aged forests of which mean DBH was 20cm and canopy height below 10m. However, a few mature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or Quercus mongolica were found in the small area. The range of Shannon's species diversity of major natural forest communities, pure or mixed forest communiti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as 1.085~1.242. According to stand dynamic analysis by DBH class distribution, the present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ari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may last long their present forest structure and most of other communities may be succeeded to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however, a few communities invaded by Robinia pseudoacacia and Quercus aliena-Quercus acutissima communities may be succeeded to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ies and Quercus aliena communities, respectively. DCA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his study. DCA ordination were showed that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seem to be from Pinus densiflora through Quercus serrata. Prunus sargrntii. Sorbus alnifolia to Q. mongolica. Fraxinus mandsburica, F. rhynchophylla in the upper layer and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Lespedeza crytobotrya trough Rhus trichocarpa. Rh. verniciflua. Rhododendron mucronulatum. Rh. schlippenbachii to Acer pseudo-sieboldianus. Magnolia sieboldii, Euonymus sieboldianus.

저자
  • 박인협
  • 이경재
  • 조재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