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KCI 등재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and a Ridge Forest at Mt. Gaya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19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인사-두리봉 동측 계곡부(해발 600~1,000m)에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63개 조사구 국일암-가야산 정부 능선부(해발 700m~1,430m)에 해발고에 따라 38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계곡부 전체의 군집형은 신갈나무-조록싸리군집이었으며, 능선부는 소나무, 신갈나무-진달래군집이었다. 계곡부와 능선부의 유사도지수는 38.2%이었다. 계곡부 전체의 종다양도는 1.3402m 능선부는 1.0098이었다. 식생천이는 소나무, 잣나무→신갈나무→졸참나무, 서어나무로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계곡부의 사면 하부에서 상부로 감에 따라 상대우점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신갈나무, 갈참나무, 진달래, 조록싸리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서어나무, 물푸레나무 등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계곡부와 능선부에서 모두 신갈나무의 상대 점치는 증가하는 반면, 소나무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곡부에서는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상층 밀도, 관목층 밀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출현종수, 종다양도는 해발고와 사면 부위가 높아짐에 따라 모두 감소하였다. 계곡부의 사면 상, 중, 하부간 유사도지수는 66.6~69.2%,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25.9~79.8%로써 사면 부위보다 해발고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능선부에서는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상층 밀도, 흉고단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종다양도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능선부의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27.9~98.2%이었다.

A valley and a ridge forest in Mt. Gaya area was studied to investigate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Sixty-three quadrats were set up in the valley forest along altitude of 600m to 1,000m and part of slope, and thirty-eight quadrats were set up in the ridge forest along altitude of 700m to 1,430m.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s, the valley forest was Quercus mongolica-Lespedeza maximowiczii community and the ridge forest was 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Similarity index between the valley forest community and the ridge forest community was 37.2%. Shannon's species diversities of the valley forest community and the ridge forest community were 1.3402 and 1.0098, respectively. According to importance values by crown stories and DCA ordination,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may be from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through Quercus mongolica to Quercus serrata and Carpinus laxiflora. As going from the lower part to upper part of the slope in the valley forest, the importance values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aliena,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Lespedeza maximowiczii increased while those of Carpinus laxiflora and Fraxinus rhynchophylla decreased. With increasing elevation in the valley and ridge forest,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decreased while that of Quercus mongolica increased. In the valley forest, densities of canopy and shrubstratum increased as increasing elevation, and the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decreased as increasing elevation and go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of slope. The range of similarity indices between parts of the slope, and the elevation belts of 100m in the valley forest were 66.6-69.2 and 25.9-79.8%, respectively. In the ridge forest, density and basal area of canopy tended to decreased as increasing elevation, and the range of similarity indices between elevation belts of 100m was 27.9-98.2%.

저자
  • 박인협
  • 조재창
  • 오충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