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원도 고성 산화지역의 토양 이화학성 변화 KCI 등재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orest-Fired Area in Koseong, Kangw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1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과 토성면 일대의 소나무군락을 대상으로 1996년 4월에 발생한 산화에 따른 산림환경변화가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비산화지역(NF) 산화후 비벌채지역(FNC), 산화후 벌채지역(FC) 및 산화후 조림지역(FCP)으로 분류하여 토양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조사지역의 토성은 사질식양토이었고, 토양의 입경조성을 비교하면 비산화지역은 표토의 모래함량이 심토보다 낮았고, 점토함량은 높았지만 산화지역은 모두 표토의 모래함량이 점토에 비해 높았다. 토양공극 분포 중 전공극량은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조공극량과 투수성은 비산화지역 > 산화후 비벌채지역 > 산화후 조림지역 > 산화후 벌채지역 순이었고, 세공극량과 가비중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산화에 따른 산림환경변화로 지피식생이 제거되어 토양침식이 가속화되면서 토양 내 수분함유능력의 지표인 토양공극과 투수성에 큰 영향을 주면서 토양물리성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pH는 비산화지역과 산화후 비벌채지역이 산화후 벌채지역과 조림지역보다 표토 및 심토 모두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함량 및 전질소함량 변화는 표토와 심토 모두 비산화지역> 산화후 비벌채지역> 산화후 조림지역> 산화후 벌채지역 순이었다.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양이온(K+ , Na+ /, Ca2+, Mg2+)함량 변화는 모두 표토가 심토보다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비산화지역> 산화후 비벌채지역> 산화후 조림지역> 산화후 벌채지역 순으로, 이는 산화후 표토층의 침식으로 지력이 악화된 결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influence of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n forest environmental change by fired pine forest in Koseong, Kangwondo. The sample sites were divided by not-fired sites(NF), not-cutting site after fired(FNC), cutting and planting sites after fired(FCP) and cutting and not-planting sites after fired(FC). Soil texture of whole sites was sandy clay loam. Sand content of NF top soil were lower than those of sub soil and clay content were higher, while FNC, FCP and FC sand content of top soil were higher than those of sub soil. Total porosity didn't differ between the sites. Coarse porosity and permeability had the increasing order as NF〉 FNC〉 FCP〉 FC, but fine porosity and bulk density had the opposite trends. Because forest fire removed the vegetation and then soil erosion was accelerated, forest environmental changes by forest fire greatly degraded soil porosity and permeability which were indices for forest water retention, so that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deteriorated. Both top and sub soil pHs of NF and FNC were higher than those of FCP and FC. Organic matter content and total nitrogen content of top and sub soils were high in order as NF〉 FNC〉 FCP〉 FC. Cation exchange capacities and exchangeable cation(K+, Na+, Ca2+, Mg2+) content in top soils were higher than those in sub soils, and in order as NF〉 FNC〉 FCP〉 FC, to be compared by the sites. Those mean that forest fire result from the erosion of top soil layers.

저자
  • 남이
  • 민일식
  • 장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