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pproach for Establishing Conceptual Framework of Management Spectirum on the Baekdudaegan Area, Korean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관리공간구획모형의 필요성으로부터 계획되었으며. 개념적인 백두대간의 관리범위모형을 수립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간구획 관련 이론 및 연구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토지이용 및 관리의 범위 설정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념적인 백두대간관리모형 수립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관리범위모형은 탄력적 관리를 위해 백두대간의 관리범위를 적극적 보전, 완충, 다목적 이용의 세 구역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에 적합한 관리목표를 설정하여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각 구역의 구획은 생태적 환경, 물리적 환경, 그리고 사회.문화적 환경을 대표하는 지표인자들의 평가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제시된 모형의 효율적인 적용은 백두대간 공간구획을 위한 적절한 지표인자의 선정 및 그에 대한 적합한 평가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그 효율성 또는 효과성이 객관적으로 평가되어야하며 사례연구를 통해 적절한 지표인자 선정 및 평가기준의 마련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conceptual management spectrum framework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Baekdudaegan area. The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at includes the concepts from existing relevant systems and other expert sources In conceptual Baekdudaegan management spectrum framework presented here, three different classes (preservation, buffer, and multiple-use) that specify potential management objectives for area functions were classified in order to pursue management flexibility Three primary management classes should be identified by evaluating Indicators of ecological, physical, and social.cultural environments. An application of the framework requires an explicit selection of indicators and their evaluation. For establishing reliability of the framework, it will be desirable to test it empirically in Baedudaegan areas in the future. In addition, systematic case study for selecting appropriate indicators and identifying evaluation standards must be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