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벌채적지에서 조릿대 임분의 식생 구조 및 산림식생 발달에 미치는 조릿대의 영향 KCI 등재

Vegetational Structure of Dwarf Bamboo and Its Effects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Deciduous Forests in Clearcutting Si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2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산림발달에 따른 조릿대 임분의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 광양의 백운산 지역내 천연임분과 1987년 벌채임분, 1993년 벌채임분에서의 조릿대 발생임분과 비발생 임분에 대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상층 수목의 생장에 대한 조릿대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조릿대가 분포하는 임분과 분포하지 않는 임분에서 공통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에 대한 연륜 생장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연구지역의 식생형은 조릿대 우점 식생형과 조릿대 소점 또는 무점 식생형으로 크게 분류되었으며. 전자의 경우 졸참나무-서어나무/조릿대 군락, 때죽나무-쪽동백나무/조릿대 군락, 층층나무-산뽕나무/조릿대 군락, 느티나무-조릿대 군락 등 4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고, 후자의 경우는 졸참나무/비목군락, 층층나무/비목 군락, 졸참나무/당단풍/물참대 군락, 물푸레나무-졸참나무/비목/회잎나무 군락, 산딸기-산수국 군락, 산딸기-싸리 군락 등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임분발달 단계에 따라서는 천연임분의 경우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중심의 낙엽활엽교목과 하층식생으로서 조릿대가 우점하는 반면, 벌채임분의 경우 하층식생으로서의 조릿대 출현밀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의 초기생장기에는 조릿대가 발생하지 않은 임분에서 자라는 개체들의 연륜폭이 조릿대 발생임분에서 자라는 개체들의 연륜폭보다 넓었으나 약 30년을 전후하여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조릿대에 의한 생장감소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Dwarf bamboo(Sasa borealis) is a dominant understory species in the various forest types in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of Sasa borealis and effects of Sasa on the growth of overstory tree species along the forest development after clearcutting. Three representative stand types with and without S. borealis in Baekwoonsan, Chonnam province were selected in 1998 for this study: uncutting stands(natural deciduous forests with overstory vegetation), 1987-cutting stands (11 years after clearcutting), and 1993-cutting stands(5 years after clearcuting). Vegetation type was largely classified into Sasa borealis dominant type and Sasa borealis recessive or absent type. The former composed of four associations including Quercus serrata-Carpinus laxiflora / Sasa borealis community, Cornus controversa-Morus bombysis / Sasa borealis community, Styrax japonica-Styrax obassia / Sasa borealis association, Zelkova serrata / Sasa borealis community. The latter divided into six associations including Quercus serrata /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Cornus controversa / Lindera erythrocarpa community, Quercus serrata / Acer pseudosieboldianum / Deutzia glabrata community, Fraxinus rhynchophylla-Quercus serrata / Lindera erythrocarpa / Euonymus alataus community, Rubus crataegifolius-Hydrangea macrophylla community, Rubus crataegifolius-Lespedeza bicolor community. Distribution of Sasa, borealis by developmental stages of forests showed that in natural stands was dominant understory, but was various pattern in two cutting stands. Mean annual ring growth of Quercus serrata and Carpinus laxiflora during the last 35 years had not been affected by presence of Sasa, based on comparisons in annual ring growth between Sasa-present and Sasa-absent stands. In conclusion, dense crown of Sasa borealis suppressed the invasion of other shrubs or annuals and facilitated later stages of plant succession by promoting growth of shade-tolerant tree species after clear cutting.

저자
  • 차윤정
  • 전승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