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자생 산돌배와 돌배나무의 조성, 분포, 입지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KCI 등재

Phytosociological Study on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he Ussurian Pear and Chinese Pear, Korean Wild Spec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2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자원식물로 유용한 야생배인 산돌배와 돌배나무군락의 종조성, 분포, 입지조건을 해석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따른 조사가 함백산, 소백산. 일월산, 주왕산. 가야산 등지에서 실시되었다. 이것은 군락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개생태학적인 특성을 파악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본 연구 결과, 야생 배나무류를 포함하는 삼림 식생은 두 군집과 두 군락으로 식별되었다: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 물개암나무-신갈나무군집, 단풍취-신갈나무군락, 물푸레나무-산돌배군락, 이 중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과 물개암나무-신갈나무군집은 우리나라 참나무삼림의 분포유형에서 제각기 남부형 및 중\ulcorner북부형에 속한다. 그러므로 야생 배나무류는 주로 한국의 냉온대 낙엽수림 영역에 제한되며, 부분적으로 우점하거나 단독으로 출현하는 것이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야생 배나무류는 교목과 아교목층에 출현하는데, 이것은 이 종이 양수이고 임관의 다른 구성종과 함께 실생으로 발생하였음을 암시한다. 이를 반영하여 야생배나무류는 보통 SE-SW방향에 분포하였다. 또 야생 배나무류를 포함하는 삼림의 임관은 열려 있는 경우가 많았다. 다양성은 우산나물-졸참나무군집이 높았고, 다른 군락들은 비교적낮았다. 상급단위로서 식별된 군락은 조록싸리-졸참나무군단, 철쭉-신갈나무군단; 당단풍-신갈나무군목; 신갈나무군강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In order to clarify the species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he Korean wild Pyrus ussuriensis and P. pyrifolia communities, that are so expected as a useful resource plant,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phytosociological method on Mts. Hambaek, Ilwol, Sobaek, Juwang and Gaya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made an attempt to elucidate the aut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ild Pyrus species by synecological approach. As a result, the forests including the Pyrus species were divided into the two associations and two communities, considering the existing vegetation units for the forest; Syneilesio-Quercetum serratae, Corylo-Quercetum mongozicae, Ainsziaea acerifoli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Fraxinus rhynchophylla-Pyrus ussuriensis community. Among the units, the Syneilesio-Quercetum serratae and the Corylo-Quercetum mongolicae belong to southern type and middile-northern type, respectively, in their distributional type. It is inferred that the wild Pyrus species are distributed preferably in the deciduous forest zone in Korea, compared to the other forest zones. In particular the Pyrus species are present alone or dominantly in only both the tree layer or subtree layer of the forests, reflecting their shade intolerance ecophysiologically. Thus they usually were distributed in SE or SW of slope aspect. Generally the canopy of the forests including the Pyrus species was so open. Species diversity of the vegetation units was highest in the Syneizesio-Quercetum serratae and lowest in the Ainsliaea acerifolia-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Corylo-Quercetum mongolicae and the Pyrus ussuriensis-Fraxinus rhynchophylla community are medium between the two.

저자
  • 송종석
  • 안영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