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천의 식생구성 상태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6월에 중랑천을 7개 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에서 3개 지점씩, 총 21개 조사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1년 6월부터 9월까지 3회에 걸쳐 중랑천 전지역의 식물상을 파악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생구성 상태는 지역별, 하천 사면의 지점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우선 근지점의 경우는 갈풀. 개쇠스랑개비, 속속이풀, 흰명아주, 개피, 좀명아주 등이 높은 상재도와 출현횟수를 보였다. 또 중간지점의 경우, 참새귀리, 환삼덩굴, 망초, 개밀 등이, 원지점의 경우, 참새 귀리, 좀명아주, 쑥 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참새귀리, 좀명아주 환삼덩굴, 망초, 개밀, 쑥, 콩다닥냉이 등은 21개 조사구 중 9회 이상 출현하여 출현 빈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랑천지역에서 나타난 귀화 식물은 모두 21과 55속 68종 6변종으로 총 74종류였으며, 이 지역의 전체 귀화율(NI)은 29.2%, 자연파괴도 (UI)는 2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랑천 전체지역에서 조사된 식물종류는 50과 159속 224종 1아종 27변종 1품종으로 총 253종류였다. 이들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은 일년생식물(Th)의 비율이 37.9%로 가장 높았으며, 지중식물(G)과 반지중식물(H)은 각각 7.1%, 17.8%로 상당히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였을 때 중랑천에서는 Th-R5-D4-e이 대표적인 생활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To understand the status of vegetational composition of Jungnangcheon, 21 plots in 7 sites were investigated in June 2001 and flora survey was done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September 2001.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Vegetational compositions of 7 sites in Jungnangcheon area were different site by site and plot by plot. In lower(nearest) point, Phalaris arundinacea, Potentilla supina, Rorippa islandica, Chenopodium album, Beckmannia syzigachne and Chenopodium ficifolium showed higher constancy and frequency. Bromus japonicus, Humulus japonicus, Conyza canadensis, Elymus tsukusiensis var. transiens showed higher constancy and frequency in middle point and Bromus japonicus, Chenopodium ficifoliu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showed in upper point. Bromus japonicus, Chenopodium ficifolium, Humulus japonicus, Conyza canadensis, Elymus tsukusiensis var. transi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Lepidium uirginicum appeared at more than 9 polts in 21 sample plots.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in Jungnangcheon area were 79 taxa. Total naturalized index(NI) and urbanized index(UI) were recorded as 29.2%, 27.9%. 253 taxa including 50 families 169 genera 224 species 1 subspecies 27 varieties 1 forma were recorded in Jungnangcheon area. Therophyte(Th) was the most common dormancy form recorded in survey area. Geophyte(G) and Hemicryptophyte(H) were calculated as 7.1%, 17.8% and it was the lower value compared to those of other dormancy form. Consequently, Th-R5-D4-e was recorded as the most common life form in Jungnangch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