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IA를 이용한 관광.휴양관련 픽토그램의 인지효과 평가 KCI 등재

The Multiple Index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Tourism and Recreation Related Pictogra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4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픽토그램(공공안내 그림표지)중 관광과 휴양활동에 관련된 픽토그램에 대한공공의 이해정도를 측정하여 픽토그램의 식별가능성과 인지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표준기준으로 채택된 300개의 픽토그램 중 25개 픽토그램을 우선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관광 전공 대학생 64명을 표본으로 Multiple Index Approach(MIA)에 의한 실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25개 픽토그램에 대한 전반적 이해도는 65.82%로 나타났으나 인지 수준에 있어 픽토그램별로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정답률이 높은 픽토그램의 경우 주관적 확신성과 주관적 적합성 모두 높게 나타났고, 오답률이 높았던 픽토그램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낮은수치를 보였다. 또한 주관적 확신성과 주관적 적합성에 대한 매트릭스 분석 결과 14개의 픽토그램이 인지효과가 높은 픽토그램군에 속하였으며, 그 외 11개 픽토그램은 향후 학습에 의한 인지도 증진 노력이나 디자인의 개선이 요망되는 픽토그램군으로 분류되었다.

It is imperative that pictograms as pictorial information be empirically tested in order to establish whether the users do indeed associate the appropriate referent in an actual usage situation. The experiment employing the Multiple Index Approach was conducted in a class room with 64 subjects to evaluate tourism and recreation related pictograms. Performance data(hit rate, false alarm and missing value) of 25 pictograms were collected and the average hit rate as a prime index of pictogram associativeness was 65.82%. The matrix analysis showed 14 pictograms were high in subjective certainty and subjective suitability. The other 11, which were low in both criteria may require prior learning or improvement of the pictogram designs to represent their meanings more distinctively.

저자
  • 유기준 | Yoo, Ki-Joon
  • 김정민 | Kim, Jeong-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