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천의 자연환경과 식물출현과의 상관성 - 한강 및 낙동강 지류하천의 사례 - KCI 등재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lant Species - Example of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4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하천식물의 자연환경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국내 중소규모의 10개 하천(한강수계의 문산천, 곡릉천, 낙동강 수계의 미천, 쌍계천, 남천, 북한강 수계의 가평천, 조종천, 남한강 수계의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선별한 다음에 각 하천의 전 유로연장에서 가장 자연성이 높은 구간 1km를 중점조사구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그 구간에 대하여 2004~2007년 여름에 식물조사를 belt transect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96종이 출현하였는데, 그 중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121종과 대상지의 환경인자(저수로 물로 부터의 거리, 하상재료의 크기, 사주의 개수, 대상지의 고도, 하상경사, 저수로의 폭, 하천수질측정값)간의 RDA (Redundancy analysis) 및 피어슨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입된 식물종들은 대상지의 고도, 하상경사, 사주의 개수의 인자와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하상재료의 크기, 저수로의 폭, 전기전도도와 인산염인(PO4-P)의 농도와는 상관성이 “매우 높은~보통”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 식물들은 현재의 그들의 수환경 조건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분석방법의 신뢰성에 큰 무리가 없으나, 사례의 다양성 부족으로 다른 사례하천으로의 확대해석은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본 자료는 앞으로 하천특성에 따른 식물연구나 하천식물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는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For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in the summer from 2004~2007, 10 small and medium sized streams in Korea were selected(Munsan and Gokreung Stream in the Han River watershed, Mi, Ssanggye and Nam Stream in the Nakdong River watershed, Gapeong and Jojong Stream in the Bukhan River watershed, Cheongmi, Yanghwa and Bokha Stream in the Namhan River watershed), and plant surveys were performed using the belt transect method on the most natural 1km sections of each stream in order to clarify the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 of the plants in each stream. In the results of the plant survey, the total number of plant species recorded was 296. After selecting 121 species of those surveyed plant in order of frequency, an RDA(Redundancy Analysis) and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ected plant spec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distance from channel, size of bed material, number of bars, altitude, bed slope, width of channel, and measured data of water quality) of the study site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121 plant species and altitude, bed slope, and number of bars at the research sites, but the correlation of plant species with size of bed material, width of channel,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hosphate(PO4-P) concentration was from very high to moderate. Also, the spectrum of these plant species reflects the actual environmental conditions so the method used in the study seems to be correct, but owing to the range of d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eem to be difficult to extend to other streams. Nevertheless, it is expected that this data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researching plants by stream characteristics or in selecting plant species for streams.

저자
  • 김혜주 | Kim, Hyea-Ju
  • 신범균 | Shin, Beom-Kyun
  • 김창완 | Kim, Chang-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