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기도 도시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 산정 KCI 등재

Estimation of C Storage and Annual CO2 Uptake by Street Trees in Gyeonggi-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6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도시가로수의 탄소흡수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로수로 흔히 식재되는 9개 수종을 선정하여 수종별 탄소저장량과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수종별로 가로수 식재현황을 고려하여 대상지를 선정하고 흉고직경과 수령을 측정하였으며, 활엽수와 침엽수 상대생장식을 활용하여 가로수의 탄소저장량과 생장속도,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산정하였다. 튤립나무, 메타세쿼이아, 양버즘나무가 빠른 생장속도를, 벚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단풍나무는 중간의 생장속도를, 소나무는 느린 생장속도를 가진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속성수의 경우 전정관리와 환경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사한 9개 대표수종의 1 그루당 평균 탄소저장량은 205kgC/tree로, 수종에 따라 최대 518kgC/tree(튤립나무)에서 최소 41kgC/tree(소나무)를 나타냈다. 또한, 수종별로 생장 전년에 걸쳐 수목 1 그루가 흡수한 이산화탄소량은 연간 평균 7.6~99.1kgCO2/tree/y 의 범위로, 튤립나무의 흡수량이 가장 높고 메타세쿼이아, 양버즘나무의 순이었으며, 소나무가 가장 낮았다. 대표수종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기초로 추정한 경기도 전체 도시 가로수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경기도의 산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의 약 0.67% 정도로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경기도에서는 매년 산림이 감소하고 시가화면적이 확대되고 있어 도심 내 탄소흡수원 확대는 점점 중요해질 것으로 보이며, 도심 내에서 수목은 열섬현상을 완화시키고 건물 냉난방에너지를 절감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기능 또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보다 다기능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We estimated and compared C storages and annual CO2 uptakes by 9 dominant tree species planted along the streets. DBH and age by tree species were measured in the sites selected considering the planting status and distributions of tree species, and biomass, C storage, growth rate, and annual CO2 uptake were estimated for each species. As a result, L. tulipifera, M. glyptostroboides, P. occidentalis were classified into fast-growing group, P. serrulata, G. biloba, Z. serrata, S. japonica, A. palmatum showed intermediate growth rates, and P. densiflora was slow-growing. Average C storage per tree was 205kgC/tree and ranged from 518kgC/tree(L. tulipifera) to 41kgC/tree(P. densiflora). Average annual CO2 uptake by urban street trees over their lifespan ranged from 7.6kgCO2/tree/y to 99.1kgCO2/tree/y and L. tulipifera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glyptostroboides and P. occidentalis, and P. densiflora was the lowest. Total annual CO2 uptake by all street trees in Gyeonggi-do, estimated based on the annual CO2 uptake by each species, was as small as approximately 0.67% of that by forest in Gyeonggi-do. However, urban trees are still important because forest area continues to decrease and urbanization occurs annually in Gyeonggi-do, and should be managed considering their multi-functional aspects, including mitigation of heat island effect and building energy saving(indirect CO2 uptake).

저자
  • 박은진 | Park, Eun-Jin
  • 강규이 | Kang, Kyu-Y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