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초기 생태하천 조성사업인 수원천을 대상으로 조성 후 10년간의 식생변화를 분석하고 생태하천의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구간은 1차 복원사업 구간인 경기교~영연교 구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형구조에 따라 3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횡단면 지형구조, 식생분포현황과 초본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하천 횡단면 지형구조 분석결과 하천 전체 폭 26.5~28.0m, 저수로 10~20m이었다.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넓은 둔치를 확보하고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은 물 흐름이 완만하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상태였으며 보 하부 여울지역은 저수로 폭이 넓고 여울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현재 식재종은 9종이었고 조성당시 식재한 종 중 남아있는 종은 버드나무, 갈대, 잔디, 토끼풀 등 6종이었다. 둔치지역은 조성 당시 파종한 종 중 잔디와 토끼풀 2종만이 남아있었고 금번 조사 시 관찰된 신규 식재종은 큰김의털과 오리새 2종이었다. 식재종 이외에는 자연발생종으로 강아지풀과 쑥 등 건조지성 초본이 세력을 형성하고, 귀화종이 15종으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호안지역은 조성 당시 자연석 쌓기 공법을 적용하고 버드나무, 돌단풍과 바위취 등을 식재하였으나 현재는 식재종이 모두 사라진 상태로 쇠뜨기와 환삼덩굴 등에 의해 피복되어 있었다. 이는 생태하천 복원 당시 유지관리상의 이유로 콘크리트 기초 위에 자연석을 부착하여 식물생육 기반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저수로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에 조성 당시 부들, 창포 및 갈대 등 습지성 식물을 식재하였으나 현재 버드나무, 갈대와 줄만이 남아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과 보하부 여울지역에는 갈대와 줄이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자연발생종으로는 고마리가 주로 우점하였고 보 하부 여울지역에서 환삼덩굴이 일부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수원천의 식생관리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이용자를 고려한 식생관리 측면에서 양호한 하천식생경관의 연출이 필요하여 이를 위해 물억새를 군락으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 상부 저수지역은 줄, 부들과 갈대 등을 수심에 맞게 보완 식재가 필요하였다. 보 하부 여울지역은 갈대, 고마리 등 습윤지성 자생종이 안정적으로 세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환삼덩굴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in vegetation for 10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targeting Suwoncheon, the first domestic ecological stream construction project. As for the section for the study, the section from Gyeonggi bridge to Youngyeon bridge, the first restoration project section, was targeted. The research districts consisted of 3 districts depending on topographical structure. Investigation check cosisted of cross-sectional topographical structure, vegetation status and the structure of herbaceous plant community. As for the cross-sectional topographical structure of the stream, the width of entire stream was 26.5~28.0m and water channel is 10~20m. The area for hydrophilic space was securing spacious riverside. Upper stream of reservoir beam was shallow and slow in reservoir area above weir. Lower stream of reservoir beam, the width of water channel was narrow and ripples were formed. Among species, 9 plants were planted and 6 species plants including Salix gracilistyla, Phragmites communis and Zoysia japonica were plant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n the water side, there were 2 species, such as Zoysia japonica and Trifolium repens, etc, still remained after seeding at the time of constrcution. The planted plants which were observ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re 2 species such as Festuca arundinacea and Dactylis glomerata. Apart from the planted plants, arid climate herbaceous plant such as Setaria viridis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formed power and the naturalized species variously emerged in 15 species. For revetment, natural stone stacking method was condicted and Salix gracilistyla, Aceriphyllum rossii, etc were planted. But all the planted plants disappeared and now it was covered with Equisetum arvense and Humulus japonicus. It was because that the base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plants was not constructed at the time of restoration in a way of attaching natural stones onto the concrete base. In the water channel, various wetland species including Typha orientalis,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and Phragmites communis, etc, were planted but only Salix gracilistyla, Phragmites communis and Zizania latifolia remained. As for species of the autochthons, Persicaria thunbergii was dominant. In the lower stream of reservoir beam, Humulus japonicus formed forces. In the hydrophilic space, it was necessary to direct the landscape of in-stream vegetation in cosideration of users. For this, planting Miscanthus sacchariflorus in a community was proposed. In the upper stream of reservoir beam, suplementary screen seeding was necessary so that Zizania latifolia, Typha orientalis and Phragmites communis can fit the depth of water. In the Lower stream of reservoir beam, it was necessary to constantly manage Humulus japonicus so that the wetland autochthons speci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and Persicaria thunbergii can establish power more stably.